ADVERTISEMENT

"2분이면 대응 끝"…'포스트 코로나' 막는다, 질병청 이 시스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 광진구보건소 보건의료과 직원이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 채혜선 기자

서울 광진구보건소 보건의료과 직원이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 채혜선 기자

지난 19일 서울 광진구보건소 감염병관리팀 사무실. 김찬미 주무관의 컴퓨터 모니터에는 질병관리청의 ‘방역통합정보시스템’ 화면이 떠 있었다. 김 주무관이 ‘보고 내역 관리’를 누르자 관내 의료기관에서 접수된 1~3급 법정 전수감시 감염병 관련 발생 정보가 한눈에 확인됐다. 김 주무관은 “의료기관에서 감염병 발생신고가 들어오면 현황판을 통해 조회와 연락이 즉시 가능해져 발 빠른 대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2분이면 끝”…질병청, 방역통합정보시스템 

29일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 2일 정식 개통한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이 4주째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은 ‘검역-신고-역학조사-환자 관리’라는 감염병 전 대응과정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그간 감염병 대응단계별 정보는 칸막이가 존재하는 것처럼 따로 관리돼왔다.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사진 질병관리청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사진 질병관리청

흩어져 있던 정보가 통합·연계되면서 전국 261개 지자체 보건소 등 방역 실무진 사이에서는 업무 처리 속도가 이전보다 빨라졌다는 호평이 나오고 있다. 손수영 광진구보건소 주무관은 “이전에는 역학조사서 작성까지 많은 단계를 거쳐야 했는데 이제는 원스톱으로 처리돼 2분이면 관련 업무가 끝나게 됐다”고 말했다.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때 기존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필요성이 대두했다. 코로나19 기간 일 최대 62만 명 이상에 이르는 신고가 들어오는 등 이전 최다 신고실적인 연 16만 건(2018년)을 압도하는 정보가 쏟아져 원래 시스템만으로는 운영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시스템 개발에 2022년 착수했다. 분석 설계(4개월)→개발(6개월)→사용자 테스트(3개월) 등의 여러 과정을 거쳐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사업 수행사인 kt ds(케이티 디에스)의 서영석 부장은 “사건 단위로 파편화된 정보가 사람을 기준으로 흐르게 되면서 빠른 정보 제공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의 방역통합정보시스템 화면. 사진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의 방역통합정보시스템 화면. 사진 질병관리청

질병청은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대규모 정보가 안정적으로 처리되면서 새로운 감염병 발생에도 신속·유연하게 대응하는 체계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정우진 질병청 정보통계담당관은 “시스템이 사용자 중심으로 개편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감염병 정보가 대규모로 수집되며 질병청 최초의 감염병 빅데이터 체계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질병청은 올해 상반기까지 방역통합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대규모 정보 분석 환경을 만들기로 했다. 올해 안에 민간 연구진에게 정보를 개방해 감염병 정책 연구를 활성화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승민 강원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전에는 연구를 위해 질병청·건강보험심사평가원·통계청 등 기관별로 정보를 결합해야 했는데, 앞으로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많은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코로나19 사태 때 지역 격차를 확인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향후 빅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면 국민에게 다양한 방역 지표가 제시돼 정책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사회경제적 방역 효과 분석 등 풍부한 연구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