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거대양당 각각 분열…36년 전 ‘1노3김’ 지금은 ‘1한3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이낙연 새로운미래 인재위원장(오른쪽)과 박원석 미래대연합 공동대표가 28일 수원시 경기아트센터에서 열린 새로운미래 경기도당 창당대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이날 이낙연 위원장의 ‘새로운미래’와 민주당 비명계 의원들이 주축인 ‘미래대연합’은 ‘개혁미래당’(가칭)으로 공동 창당에 합의했다. [뉴스1]

이낙연 새로운미래 인재위원장(오른쪽)과 박원석 미래대연합 공동대표가 28일 수원시 경기아트센터에서 열린 새로운미래 경기도당 창당대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이날 이낙연 위원장의 ‘새로운미래’와 민주당 비명계 의원들이 주축인 ‘미래대연합’은 ‘개혁미래당’(가칭)으로 공동 창당에 합의했다. [뉴스1]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끄는 ‘새로운미래’와 이원욱·김종민·조응천 의원 등 민주당 탈당파 주도로 결성된 ‘미래대연합’이 28일 공동 창당 방침을 선언했다. 신당의 이름은 ‘개혁미래당’(가칭)으로 정했다.

박원석 미래대연합 공동대표와 신경민 새로운미래 국민소통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기득권 혁파와 정치혁신, 사회 개혁과 미래 전환에 나서라는 국민 기대와 명령에 부응하고자 공동 창당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초 모든 제3지대 정치 세력을 모으는 ‘빅 텐트’를 추진했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자 우선 민주당 이탈 세력만 한데 묶는 ‘미디엄(medium) 텐트’로 선회했다.

지난 24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이끄는 ‘개혁신당’과 양향자 의원의 한국의희망도 개혁신당으로 합당을 선언한 상태다. 이에 따라 4·10 총선은 기존 여야 대결이 아니라 국민의힘 계열의 두 정당(국민의힘·개혁신당)과 민주당 계열 두 정당(민주당·개혁미래당)이 겨루는 ‘4당 체제’로 치러질 가능성이 커졌다.

공동 창당 선언엔 “당에 통합추진위 두고 빅텐트 구성을 위해 계속 노력을 하겠다”는 말이 덧붙었지만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곧바로 “개혁미래당이라는 당명을 쓰겠다고 하는 것은 의도가 명백해 보인다. 무임승차는 지하철이든 당명이든 곤란하다”고 항의하는 신경전이 벌어졌다.

최근 합당을 선언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왼쪽)와 양향자 한국의희망 대표가 28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찾아 시민과 상인들에게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최근 합당을 선언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왼쪽)와 양향자 한국의희망 대표가 28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찾아 시민과 상인들에게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제3지대 두 신당이 후보자 등록기간(3월 21~22일)까지 ‘빅 텐트’ 결성에 실패하면, 4·10 총선에선 거대 양당이 각각 분열해 형성된 4당이 겨루게 된다. 정치권에선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신민주공화당(총선 당시 의석수 기준)이 맞붙은 1988년 총선을 떠올리는 이들이 꽤 있다. 당시엔 박정희 정부 계승을 표방하는 JP의 신민주공화당이 여당인 민주정의당을 등진 채 자력 생존을 시도했고, 신한민주당을 박차고 나온 DJ와 YS가 분열해 이른바 ‘1노3김’의 제도권 4당 구도가 형성됐다. ▶대구·경북(TK) 민정당 ▶호남 평민당 ▶부산·경남(PK)  민주당▶충청 공화당 등 지역주의 기반이 YS·DJ·JP라는 맹주들을 중심으로 극대화되면서 벌어진 일이다.

전문가들 사이엔 지금의 ‘4당’을 36년 전과 비교하는 건 무리라는 견해가 많다. 3김의 구심력이 강했던 그때와 리더십 균열이 낳은 원심력이 강한 지금과는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신율(정치학) 명지대 교수는 “전직 대표들이 탈당해 만들었다는 게 두 신당의 공통점”이라고 짚었다. 소멸 위기이긴 하지만 정의당이 원내 진보 정당으로서 남아 있다는 점도 그때와 다른 점이다. 그렇다 보니 두 신당의 독자 생존 가능성은 여전히 의문이다. 여론조사업체 에스티아이의 이준호 대표는 “두 당이 지역구 후보를 몇이나 낼 수 있을지도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정치 구도의 균열과 변화까지 끌어내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민심은 아직 유동적이다. 한국갤럽 조사(23~25일·무선전화면접)에서 ‘22대 총선 결과 기대’에 대해 응답자의 24%가 “제3지대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고 답했다. 20대(40%)·무당층(36%)·중도층(36%)에서 ‘제3지대 선호’가 많았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준한(정치학) 인천대 교수는 “선거가 가까워지면 중도층·무당파가 줄기 마련인데 지금은 계속 남아 있다”면서도 “무당파가 그냥 투표를 안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