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러시아 이어 中 당기는 北…"외교차관 방북", "수교 75주년" 강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쑨웨이둥(孫衛東)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북한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동상에 헌화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북한이 지난해부터 러시아와 급속도로 밀착한 데 이어 중국과도 올해 수교 75주년을 모멘텀 삼아 적극적으로 연대를 모색하는 모양새다.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중국 외교부 대표단이 지난 25일 평양 만수대언덕의 김일성·김정일 동상에 헌화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중국 외교부 대표단이 지난 25일 평양 만수대언덕의 김일성·김정일 동상에 헌화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박명호 방중 이어 쑨웨이둥 방북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 매체는 이날 "외교부 부부장 손위동(쑨웨이둥) 동지를 단장으로 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대표단이 신의주를 경유해 25일 평양에 도착했다"며 "국경 다리에서 북한 외무성 간부들과 북한 주재 중국 공사가 쑨 부부장을 포함한 중국 대표단을 맞이했다"고 보도했다.

쑨 부부장은 방북 기간 자신의 카운터파트이자 북한 외무성의 대표적인 중국통인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과 약 한 달 만에 다시 회담할 것으로 보인다.

쑨 부부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직접 예방할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12월 18일 박 부상이 중국을 찾았을 때는 그가 차관급임에도 불구하고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마주앉았다. 같은 날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때문에 중국의 외교 사령탑이 북한의 도발을 대놓고 눈감아 준거란 지적이 나왔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지난해 12월 차관급인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과 회담하는 모습. 중국 외교부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지난해 12월 차관급인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과 회담하는 모습. 중국 외교부

북·중은 이번 쑨 부부장의 방북을 계기로 올해 수교 75주년을 맞아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고위급 교류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협의할 전망이다.

또한 북한이 최근 한국을 "통일이 불가능한 적대국"이라고 규정하는 등 대남 노선을 변경한 것과 관련한 논의도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북한은 지난해 12월 당 전원회의와 지난 15일 최고인민회의에서 논의된 구체적인 내용을 중국 측과 공유하며 의견을 청취하려 할 수 있다.

"올해는 조·중 우호의 해"

앞서 지난 1일 김정은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낸 새해 축전에서 "2024년은 북·중 수교 75주년이 되는 해로 이는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며 "2024년을 조·중 우호의 해로 지정하고, 시대와 현실의 요구에 맞게 북·중 전통적 우호협력관계를 더욱 승화·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2019년 6월 평양 순안공항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환송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2019년 6월 평양 순안공항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환송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북·중 수교 75주년을 적극적으로 띄우는 건 그간 중국이 러시아에 비해 북한과 밀착에 소극적이었다는 점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북·러 간에는 지난해 하반기 러시아 군사대표단 방북(지난해 7월), 김정은의 방러와 북·러 정상회담(지난해 9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 방북(지난해 10월), 북·러 경제공동위원회(지난해 11월), 연해주 정부대표단 방북(지난해 12월) 등 고위급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반면 중국과는 지난해 7월 북한의 소위 '전승절'(정전협정기념일) 계기 중국 대표단의 방북과 지난해 12월 박명호 부상의 방중 외에는 이렇다 할 고위급 교류가 없었다. 지난해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 때도 북한은 이례적으로 고위급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이와 관련, 북한과 밀착을 부담스러워하는 기색이 역력한 중국을 향한 서운함을 드러낸 거란 관측이 나왔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들어 김정은이 시 주석에게 "모든 분야에서 교류와 왕래를 긴밀히 하자"며 직접 방중할 가능성까지 시사한 건 북·중·러 반미 연대에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는 중국을 끌어당기려는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트럭 행렬 포착…대규모 육상 교역

최근 북·중 간에 코로나 19 이후 끊겼던 대규모 육상 교역이 이뤄지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지난 23일(현지시간) 공개한 위성 사진에는 중국 랴오닝성 단둥과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를 연결하는 조중우의교 인근을 지나는 트럭 행렬이 포착됐다.

38노스는 "지난해부터 북·중 국경 봉쇄가 완화되면서 트럭이 오가는 모습이 때때로 관찰되긴 했다"며 "그러나 이번처럼 다수의 트럭이 중국으로 넘어가기 전 마지막 정차 장소인 신의주 세관에 들어가기 위해 줄지어 있는 모습이 포착된 건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23일 북·중 국경을 건너기 전 트럭들이 신의주 세관에 들어가기 위해 줄지어 있는 모습. 플래닛랩스. 38노스.

지난 23일 북·중 국경을 건너기 전 트럭들이 신의주 세관에 들어가기 위해 줄지어 있는 모습. 플래닛랩스. 38노스.

북한이 지난해 12월부터 중국, 동남아 등으로 이어지는 상업용 항구인 서해 남포항의 석유화학 시설에 새로운 부두를 건설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지난 25일(현지시간) 38노스는 지난해 12월부터 전날까지 촬영한 위성 사진을 근거로 "남포항 석유화학 시설에 있는 기존 부두 4개 옆에 새로운 부두를 조성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 당국이 불법 환적 등 제재 회피 행위를 통한 유류 반입 증가에 대비하고 있는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난 24일 촬영한 북한의 남포항의 위성 사진에 새로운 부두 건설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38노스. 플래닛랩스.

지난 24일 촬영한 북한의 남포항의 위성 사진에 새로운 부두 건설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38노스. 플래닛랩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