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민 갤럭시 '진달래' 꺼냈던 北, 핵∙워게임에도 AI 기술 쓴다

중앙일보

입력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출시한 최신형 스마트폰 '진달래7'에 인공지능과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됐다고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이 전한 사진. 연합뉴스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출시한 최신형 스마트폰 '진달래7'에 인공지능과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됐다고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이 전한 사진. 연합뉴스

북한마저 ‘인공지능(AI) 시대’에 합류했다. 코로나 대응 같은 행정용 AI에서부터 원자로‧모의전쟁 연습 등 군사용 AI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AI 기술을 탑재한 자체 스마트폰을 홍보하는 등, AI와 머신러닝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김혁 미국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CNS) 연구원은 24일 북한전문매체 38노스에 공개한 보고서에서 “국제사회 제재로 AI 하드웨어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에도, 북한은 중국을 포함한 해외 학자들과 협력해 AI 도입을 지속해서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2013년 정보산업지도국 산하에 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했고, 2021년부터는 부처급으로 승격시켜 AI 기술에 힘을 싣고 있다.

원자력‧워게임에 AI 접목

북한이 주로 시도하는 AI 적용 대상은 군사 분야다. 북한 과학자들은 원자로 안전 유지에 AI를 활용하는 연구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 2022년 북한 핵 과학자 문호일‧서철 등은 국제 학술지에 유전자 패턴과 같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원자로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워게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도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주도의 국방연구에 참여해 강화학습(RL) 기술을 적용한 모의 전투를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강화학습은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해 배우는 기능으로, 구글 딥마인드가 알파고를 통해 바둑 분야에 처음 적용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김 연구원은 “북한이 (머신러닝을 이용한) 전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것은 잠재적인 적군에 대한 작전 환경을 더 잘 이해하려는 의도”라며 “중국 학자들과 연구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민 갤럭시’ AI 폰도 꾸준히 내놔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개발·제작한 지능형 손전화기(스마트폰) '진달래6'. 북한이 자체 개발‧제조했다고 선전한다. 연합뉴스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개발·제작한 지능형 손전화기(스마트폰) '진달래6'. 북한이 자체 개발‧제조했다고 선전한다. 연합뉴스

북한이 자체 개발‧제조했다고 홍보하는 스마트폰에도 AI 기능이 강조된다. 북한의 갤럭시급인 ‘진달래’는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자체 개발했다고 선전하는 스마트폰으로, 공식 공개한 모델은 지난 2020년 출시한 ‘진달래 7’이 마지막이다. 그러나 최근 진달래9‧10 등 후속 기종이 북한 내 홍보 영상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만경대정보기술사는 진달래를 ‘AI 폰’이라 주장한다. “심층신경망(DNN)을 기반으로 한 지문‧음성‧얼굴 및 텍스트 인식 기술을 넣었다”는 것. 이 회사에는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종합대학 출신 연구원 수십 명이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2020년 출시한 스마트폰 '진달래7'에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자입력 기능이 탑재됐다고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이 홍보하는 사진. 이를 토대로 북한은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한 제품”이라고 선전한다. 연합뉴스

북한 만경대정보기술사가 2020년 출시한 스마트폰 '진달래7'에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문자입력 기능이 탑재됐다고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이 홍보하는 사진. 이를 토대로 북한은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한 제품”이라고 선전한다. 연합뉴스

다만 “AI와 증강현실 기술까지 구현할 수 있다”라는 북한의 주장과 달리, 실제 AI 성능은 애플‧삼성은 물론 화웨이나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에도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 공장에서 회로설계부터 조립 공정까지 연간 수십만 대를 자체 생산한다고 홍보하지만, 업계에서는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와 중국산 스마트폰 부품을 비공식적으로 바꿔 조달하는 것으로 본다.

김 연구원은 “북한이 기술 지원을 통해 습득한 민간 AI 기술을 군사용으로 전환할 위험이 있다”면서 “AI 분야에서 학문의 자유를 보호하는 동시에 국제제재를 위반하지 않도록 면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