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920~70 한국 기하학적 추상...우리가 몰랐던 '혁신'의 작가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변영원, 합존 97 번,1969, 캔버스에 유채, 91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변영원, 합존 97 번,1969, 캔버스에 유채, 91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하종현, 도시 계획 백서 68, 1968, 캔버스에 유채, 120x120cm, 작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

하종현, 도시 계획 백서 68, 1968, 캔버스에 유채, 120x120cm, 작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

최명영, 오 (悟 ) 68-C,,1967, 캔버스에 유채, 195x132cm, 작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최명영, 오 (悟 ) 68-C,,1967, 캔버스에 유채, 195x132cm, 작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준, 송 유향, 1985, 캔버스에 유채, 130.5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준, 송 유향, 1985, 캔버스에 유채, 130.5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변영원(1921~1988), 김충선(1925~1994), 변희천(1909~1991), 이상욱(1923~1988), 문복철(1941~2003)···. '우리가 알지 못했던 예술가들이 이렇게 많았던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한국 기하학적 추상미술' (5월 19일까지) 전시를 본 관람객들이 절로 중얼거리게 되는 말이다. 관람객마다 이번 전시에서 새롭게 발견하게 된 작가들이 한둘이 아니라서다. 마치 오랫동안 닫혀 있던 비밀 상자를 열어젖히듯 이번 전시는 그동안 미술사에서 소외돼 묻혀 있던 작가들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전시는 1920년대부터 1970년까지 한국 대표 추상 미술가 47인의 작품 150여 점과 아카이브 100여 점을 통해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역사를 조망한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점과 선, 원과 사각형 등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강조하는 회화의 경향을 가리키는 말. 흔히 피에트 몬드리안이나 바실리 칸딘스키 같은 서구 작가들이 거론되지만, 이 전시는 한국에도 독자적 방식으로 기하학적 추상 미술을 시도한 작가들이 꽤 있었음을 보여준다.

1920~30년대 '미래 감각' 디자인

 『단성주보 』제300호 표지, 단성사, 1929년 2 월.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단성주보 』제300호 표지, 단성사, 1929년 2 월.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시 전경.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시 전경.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를테면 1930년대 말 김환기와 유영국의 기하 추상이 등장하기 전 경성에서는 1920년대 후반 디자인 영역에서 먼저 기하학적 추상이 시도됐다. 1929년 2월 극장 단성사가 영화 홍보를 위해 만든 '단성주보' 300호 표지에 기하학적인 추상 이미지가 등장했다. 이 시기의 추상은 주로 지식인을 대상으로 한 잡지에 '새로움'과 '혁신' 등 새로움과 혁신을 상징하는 미래 지향적 감각을 드러내는 이미지였다.

이후 1957년 바우하우스를 모델로 한국 최초로 결성된 화가, 건축가, 디자이너 연합 그룹 '신조형파' 작가들의 활동으로 다양한 작품이 제작됐다. 이들은 "현대사화에 적합한 미술은 합리적인 기준과 질서를 바탕으로 제작된 기하학적 추상미술"이라고 보았고, 김충선의'무제'(1959)를 포함한 변영원, 이상욱, 조병현의 작품이 이 시기에 나왔다.

우리가 몰랐던 작가, 변영원 

특히 이번 전시에서 '신조형파' '우주시대의 조감도' 등 두 섹션에서 단연 시선을 사로잡는 작가 중 한 사람이 변영원이다. 40년대 일본에서 서양화를 공부하고 귀국한 이래 일관되게 비구상 작업을 했던 작가로, 그는 "회화의 기본 요소인 선과 색으로 이루어진 추상미술이야말로 미래의 원자 시대를 대변하는 미술"이라고 보았다. 변영원은 한국의 바우하우스를 표방했지만 신조형파가 해체된 이후로는 중학교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했다.

김충선, 원색의 색면 분할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기원, 간섭 81-1, 1981, 캔버스에 유채, 146x113cm, 유족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이기원, 간섭 81-1, 1981, 캔버스에 유채, 146x113cm, 유족 소장.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1956년 홍익대 서양화과 동문인 김영환, 문우식, 박서보와 ‘반(反)국전 선언’을 발표하며 '4인전'을 열었던 작가 김충선의 작품도 주목할 만하다. 대상을 원색의 색면으로 분할하고 평면성을 강조하면서도 물감을 두껍게 발라 화면의 질감을 강조한 작품 '무제'(1959)는 그가 당시 생각했던 현대미술의 면모가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산과 달, 마음의 기하학 

류경채, 축전 91-8, 1991, 캔버스에 유채, 128.5x151.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사진 국립현대미술관]

류경채, 축전 91-8, 1991, 캔버스에 유채, 128.5x151.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사진 국립현대미술관]

김환기, 유영국, 류경채, 이준(1세대 추상 미술가)과 이기원, 전성우, 하인두(2세대) 등의 작품도 '한국적 서정주의 추상'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자연의 형태를 단순화하거나 자연에 대한 서정적인 감성을 부여한 작품들이다. 이 전시를 기획한 전유신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특히 류경채(1920~1995)는 평생 대상을 해체하며 작업의 깊이를 더해갔는데 김환기, 유영국보다 덜 알려져 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서정적이며 독창적인 작품 세계가 재조명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는 기하학적 추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서울의 현대성과 미래적인 국가의 면모를 재현하는 데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69년 미국의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면서 시작된 우주 시대는 변영원의 합존 97번(1969)을 포함해 이성자, 한묵 등의 작품에 드러나 있다.

또 이번 전시엔 새로 발굴돼 공개되는 작품들이 여럿 있다. 윤형근이 1969년 제10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에 출품했던 작품 '69-E8'은 이후 행방이 묘연했다가 작가 작업실에서 둘둘 말린 채로 발굴돼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됐다. 최명영이 1967년 '한국청년작가연립전'에 출품했던 '오(悟) 68-C'와 이승조가 1970년 제4회 '오리진'전에 출품한 '핵 G-999'는 각각 당시 전시 이후 이번 전시에서 50여 년 만에 처음 공개됐다. 전 학예연구사는 "그동안 한국 추상미술의 특징은 앵포르멜과 단색화로 거론되는 경향이 있었다"며 "단색화로만 한국 추상의 특징을 귀결 시키기에는 기하추상 시기가 짧지만 매우 의미 있다. 이번 전시를 계기로 한국 추상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더욱 풍부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