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삼바' 키운 정책이 '삼바' 옥죈다…부지 못 잡는 '송도 터줏대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국내외 바이오기업들이 입주한 인천 송도국제도시. 사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국내외 바이오기업들이 입주한 인천 송도국제도시. 사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국내외 바이오 기업이 생산기지 확대 경쟁에 골몰하는 가운데 ‘송도 터줏대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집적 효과를 위해 송도 생산시설을 키우려 하지만, 부지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어서다. 설립 초기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키운 ‘외투 기업 우대 정책’이 지금은 발목을 잡고 있는 탓이다.

삼바의 고민

23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설비 확장을 위해 제3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하기로 하고 관련 계획을 수립 중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1·2 캠퍼스가 위치한 송도 내에서 추가 부지를 확보하는게 최선”이라면서도 “현재 활용 가능한 부지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2011년 출범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후발주자로서 글로벌 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었던 비결은 생산 규모의 ‘초격차’에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에 제1 바이오 캠퍼스(1~4공장)을 운영 중이며 제2 바이오 캠퍼스(5~8공장) 가동도 준비 중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능력은 연간 60만4000리터로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업체 중 최대다. 내년 9월 5공장이 완공되면 78만4000리터까지 늘어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CDMO 사업은 생산능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10년 후 구축할 제3 캠퍼스 확장 계획을 서두르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왜 송도를 원할까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 김경록 기자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 김경록 기자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미국 뉴저지·샌디에이고, 아일랜드 등 해외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공장 설립 제안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송도를 쉽게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집적 효과 때문. 바이오 클러스터 개발 초창기에 들어와 기반시설부터 투자해온 송도에 1·2·3캠퍼스가 함께 모일 경우 제품·원부자재 보관과 운송, 인력 운용까지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

인천국제공항과의 접근성도 장점이다. 바이오 의약품은 시간과 온도에 따라 변질되기 쉬워 항공 운송으로 수출하는 경우가 많다. 공항 근처에 공장을 두면 변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이오 제품과 원부자재 수출입에 유리하다. 이미 자리 잡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외에 SK바이오사이언스, 롯데바이오로직스도 송도에 본사·연구소 이전을 결정했다. 머크, 싸이티바, 써모피셔, 생고뱅 등 글로벌 바이오 소재·부품 기업도 이 같은 이점을 노리고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로 입주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외투 우대로 역차별”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노리는 부지는 송도 제11공구 내 유휴부지. 걸림돌은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산업시설 용지는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의계약을 우선으로 한다는 점이다.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외국인 지분이 10% 이상인 기업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과 협의를 통해 매매를 추진할 수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의 취지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촉진하는 것”이라며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을 진행한 경우도 있지만 정책 방향상 자주하긴 어렵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외투기업 우대가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우려도 있다. 지난해 6월 송도 11공구에 생산설비 건설 부지를 매입한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경우 2대 주주인 일본 롯데(롯데홀딩스)의 지분 참여를 외국인 투자로 인정 받아 조성원가 이하의 부지를 제공 받았다. 과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송도에 대규모 생산설비를 지을 수 있었던 배경도 비슷하다. 당시 미국 바이오회사 퀸타일즈의 지분이 10% 이상이어서 외투 기업으로 지정됐기 때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3년 이후 퀸타일즈 지분이 한자릿수로 떨어지며 토지 매매 수의 계약 대상에서 빠졌다.

송도가 경제자유구역을 지정 된지 20년이 지난 만큼 변화된 여건에 맞춰 정책을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역도시를 목표로 조성된 초기와 달리 바이오 특화도시로 성격이 바뀐 만큼 한국 바이오 기업 육성 기반을 다질 필요가 있다는 것. 이왕기 인천연구원 부원장은 “경제자유구역 초기에는 외투기업을 유치한다는 산업 전략에 기초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국내 바이오 산업이 송도에 집중되는 구조가 됐고 상당한 시너지를 내고 있다”며 “변화된 여건에 맞게 산업 전략과 방향을 점검하고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