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도권 교통카드 4종 비교해보니…내게 가장 유리한 카드는 이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2일 대중교통비 지원 관련 합동기자설명회 자리에서 김동연 경기지사, 박상우 국토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왼쪽부터)이 서로 손을 잡고 있다. 사진 국토교통부

22일 대중교통비 지원 관련 합동기자설명회 자리에서 김동연 경기지사, 박상우 국토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왼쪽부터)이 서로 손을 잡고 있다. 사진 국토교통부

‘K-패스’, ‘기후동행카드’, ‘THE 경기패스’, ‘인천 I-패스’.

 정부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자체가 각각 시행 예정인 대중교통비 지원정책들이다. 적용 대상과 할인 혜택 등이 다 다르다 보니 이용자로서는 어떤 걸 선택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22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김동연 경기지사, 유정복 인천시장이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 모여서 대중교통비 지원 관련 합동기자설명회를 연 것도 이 때문이다.

 국토부와 3개 지자체에 따르면 K-패스와 THE 경기패스(경기), 인천 I-패스(인천)는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다. K-패스를 기본으로 해서 경기와 인천이 각각 혜택을 더 추가했다.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인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환급비율은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은 53%이며 최대 60회까지 적립된다. 청년은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19~34세가, 저소득층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이 각각 해당한다. 청년을 예로 들면 대중교통을 탈 때 한 번에 1500원을 지출했다면 30%인 450원이 적립된다. 월 15회를 넘겨 60회까지 썼다면 다음 달에 돌려받을 적립금은 최대 2만 7000원이 된다.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일반은 1만 8000원, 저소득층은 4만 8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으며 적립금은 다음 달에 현금이나 마일리지, 카드공제 등으로 직접 환급될 계획이다. 지하철과 시내버스, 민자철도(신분당선 등)는 물론 오는 3월 말 개통 예정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과 광역버스에도 K-패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요금이 비싼 GTX와 광역버스의 1회당 환급 상한금액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THE 경기패스와 인천 I-패스는 청년의 폭을 만 39세까지로 늘렸다. 또 최대적립 횟수 제한이 없어 60회 넘게 사용해도 모두 정해진 비율대로 환급받을 수 있다. K-패스 적용대상이 아닌 어린이에게도 최대 24만원(경기), 최대 12만원(인천)까지 할인 혜택을 준다. 인천시는 여기에 65세 이상 노인에 대한 환급 혜택도 늘릴 계획이다. 3개 카드 모두 이용지역은 전국이다.

 서울시가 이달 27일부터 6월 말까지 시범 운영할 예정인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5000원을 내면 서울시내 전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심야버스, 따릉이, 리버버스까지 모두 무제한 사용 가능하다. 따릉이를 빼면 6만 2000원이다. 민자철도인 신분당선과 요금이 비싼 광역버스 등은 제외한다. 서울시는 K-패스도 함께 시행한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의 백승록 광역교통경제과장은 “서울시의 경우 이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대중교통 유형과 평균 사용액 등을 비교해서 할인 혜택이 더 큰 카드를 고르면 된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에서 통근하는 일반인을 예로 들어 K-패스를 쓸 경우(1회 요금 1500원 기준) 최대 예상 적립금이 1만 8000원이고, 월평균 대중교통비가 9만원이라면 K-패스 대신 기후동행카드를 선택하는 게 더 유리하다는 의미다.

 K-패스는 1만 8000원을 돌려받지만, 기후동행카드는 2만 5000원이 절약돼 혜택이 더 크기 때문이다. 반면 월평균 대중교통비가 8만 3000원에 못 미친다면 환급액이 더 많은 K-패스를 선택하는 게 낫다. 경기와 인천은 각 지자체에서 출시하는 카드를 이용하면 된다.

 이들 정책 모두 대중교통 활성화와 교통비 부담 완화가 목적이지만 기본적으로 적지 않은 재정부담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K-패스의 경우 올해 소요예산만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1600억원가량 된다. 소요예산은 정부와 지자체가 각각 50%씩 부담하며, 서울은 예외적으로 정부가 40%만 지원한다.

 기후동행카드는 5개월의 시범운영을 위해 책정한 예산이 750억원이다. 한 달에 150억원꼴로 연간으로 환산하면 1800억원에 달하는 데다 이용자가 늘면 그 부담은 더 커진다. 인천과 경기는 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광역버스와 GTX 모두 환급대상인 데다 횟수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비용 부담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또 K-패스의 최대 적립 한도를 넘어선 비용은 경기와 인천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여기에 인천은 기후동행카드와 유사한 개념의 광역버스 무제한 정기권인 ‘인천 광역 I-패스’ 도입도 검토 중이다. 결국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이들 대중교통비 지원정책의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한편 이날 합동기자설명회에서 박상우 장관과 오세훈 시장, 김동연 지사, 유정복 시장은 “수도권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