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참에 갈아타?…보험 비교 플랫폼 오늘 오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19일 ‘보험상품 비교 플랫폼’이 베일을 벗는다. 앞으로 소비자는 핀테크 기업이 운영하는 플랫폼에서 온라인 보험상품(CM)의 가격과 조건 등을 한눈에 비교한 뒤 원스톱으로 가입할 수 있다. 19일 플랫폼에 등장할 첫 주자(보험 상품)는 자동차보험과 용종보험이다. 용종보험은 위·십이지장·대장 등 주요 기관에서 용종 진단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앞으로 실손보험을 비롯해, 저축성보험(연금제외), 여행자보험, 펫 보험 등도 연내 플랫폼서 비교·추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소비자의 관심이 쏠리는 건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이다. 더욱이 다음 달 손해보험사가 자동차보험료를 2.4~3% 낮출 것을 예고했다. 자동차보험 만기를 앞둔 수요자라면 ‘더 싼 보험료’로 손쉽게 갈아탈 기회일 수 있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자동차보험 비교 플랫폼을 내놓은 곳은 비바리퍼블리카(플랫폼은 토스)·뱅크샐러드·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등 7개 플랫폼 기업이다. 이들이 운영하는 금융 플랫폼에서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캐롯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 10곳의 온라인 자동차 보험을 비교할 수 있다.

자동차보험 비교 플랫폼의 성패를 쥔 것은 3% 초·중반대의 플랫폼 수수료다. 해당 서비스는 소비자가 플랫폼을 통해 자동차보험에 가입하면, 보험사가 중개수수료를 내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때 플랫폼 수수료가 얼마나 보험료에 반영될지에 따라 소비자의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85%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대형 손해보험사 4곳(삼성화재·현대해상·KB손보·DB손보)은 플랫폼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엔 ‘플랫폼(PM)요율’을 적용할 계획이다. 기존 대면·전화(TM)·온라인(CM) 등 판매 채널마다 수수료율이 다르듯 별도의 PM요율을 책정하겠다는 의미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보험사 관계자는 “플랫폼을 통한 가입자에게 보험료가 가장 저렴한 CM요율을 적용하면 현재 CM채널인 다이렉트 이용자와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PM요율에 플랫폼 수수료가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는 중소형 손해보험사는 CM채널과 동일한 보험료를 매길 예정이다. 새 장(보험비교 플랫폼)이 열리면 대형보험사의 시장 점유율을 뺏기 위한 중소형 손해보험사간의 ‘가격 경쟁’이 치열할 수 있다는 의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