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0위권팀에 또 졸전…“중국 대표팀, 역대 최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중국 축구는 아시안컵 본선에서 졸전을 거듭해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17일 중국 간판 공격수 우레이(왼쪽)의 슛을 레바논 골키퍼(21번)가 막아내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국 축구는 아시안컵 본선에서 졸전을 거듭해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17일 중국 간판 공격수 우레이(왼쪽)의 슛을 레바논 골키퍼(21번)가 막아내고 있다. [AFP=연합뉴스]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본선 무대에서 중국 축구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국제축구연맹(FIFA) 100위권 팀들과의 맞대결에서 잇달아 졸전을 펼쳐 중국 팬들에게 또 한 번 큰 실망을 안겼다. ‘축구굴기’를 부르짖으며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붓고도 여전히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건 근본적인 개혁 없이 겉으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해서만 땜질식 처방에 그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79위 중국은 17일 카타르 도하의 알투마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레바논(107위)과의 조별리그 A조 2차전에서 0-0으로 비겼다. 지난 13일 타지키스탄(106위)과의 1차전에 이어 FIFA랭킹 100위 이하의 상대 팀과 두 경기 연속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하며 자존심을 구겼다.

아시안컵 개막을 앞두고 치른 세 차례 A매치에서 모두 진 것을 포함하면 최근 5경기 연속 무승이다. 중국은 앞서 한국과 치른 2026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경기에서 0-3으로 완패했다. 이후 오만에 0-2, 홍콩에 1-2로 졌다. 특히 완승을 기대했던 홍콩전에서 지난 1985년 이후 39년 만에 덜미를 잡혀 선수단 분위기가 꽁꽁 얼어붙었다.

2무승부로 A조 2위를 달리고 있지만, 조별리그 마지막 상대가 우승 후보 카타르라는 점을 감안하면 16강 진출을 낙관할 수 없다. 중국 언론들은 “2019년 아랍에미리트 대회 8강에서 이란에 0-3으로 완패한 것을 포함해 아시안컵 본선에서 3경기 연속 무득점에 그친 건 1976년 이 대회에 참가한 이후 역대 최악의 결과”라면서 “결선 토너먼트에 오르지 못한다면 감독 교체를 포함해 대표팀에 대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국 축구가 부진한 표면적인 이유는 골 결정력 부족이다. 타지키스탄전에서 10개, 레바논전에서 15개의 슈팅을 각각 시도했지만, 단 한 골도 터뜨리지 못했다. 레바논전 후반 20분 중국 간판 공격수 우레이가 상대 골키퍼의 실수를 틈타 잡은 득점 찬스에서 텅 빈 골대 밖으로 슛을 날린 건 ‘해결사 본능’이 떨어지는 중국 축구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다.

과거 중국 수퍼리그 지휘봉을 잡았던 A 감독은 “직접 가르쳐보니 개인 기량이 기대 이상인 중국 선수들이 여럿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한국 선수들보다 조직적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졌다”면서 “차원 높은 전술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5연속 무승 ... 중국 축구의 갈짓자 행보

5연속 무승 ... 중국 축구의 갈짓자 행보

수퍼리그에서 뛴 경험이 있는 수비수 B는 “수비 파트너에게 협력 수비를 위한 기초적인 움직임부터 가르쳐야 했다”면서 “중국대표팀 선발 이야기가 나오던 선수인데도 기본기가 허술해 놀랐던 기억이 있다”고 털어놓았다.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지도자 역량 강화’가 급선무다. 선수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역할은 결국 지도자의 몫인데, 그간 중국 축구는 선수에 집중하느라 능력 있는 지도자를 길러내는 일에 소홀했다.

광저우 헝다의 전성기 시절 지휘봉을 잡았던 이장수 감독은 “중국이 축구에 돈을 쏟아붓던 시절 레알 마드리드(스페인)를 비롯해 유럽의 명문 클럽 지도자들을 데려와 선수들을 가르쳤다”면서 “유럽식 훈련을 받아들인 것 자체는 의미 있는 시도였지만, 훈련의 의미와 목적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그저 따라 하는데 그치다 보니 그들이 떠난 뒤 중국 지도자들에게 남은 유산이 많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눈앞의 결과에 일희일비하는 중국 축구계의 분위기도 축구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A 감독은 “계약 당시 구단 측이 계약서에 ‘시즌 도중 3연패 이상을 하면 언제든 경질할 수 있다’는 등의 독소조항을 집어넣어 이를 지우느라 애를 먹었다”면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팀을 정비할 수 있는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선 지도자가 ‘경쟁력 강화’보다 ‘지지 않는 축구’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