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반려동물 시설 부족한 서울, 연천에 테마파크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서울을 포함한 전국 여러 지자체가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에 나섰다. 반려동물은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놀이 공간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테마파크 인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물림 사고 등 안전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생활인구 늘리려는 연천군과 이해관계 맞아 #"반려동물 관련 공공서비스 제공할 수 있어야"

서울시가 경기도 연천군과 함께 손을 잡고 조성 예정인 '반려동물 테마파크'의 조감도. 수도권 최대 규모로 이르면 2026년 개장한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경기도 연천군과 함께 손을 잡고 조성 예정인 '반려동물 테마파크'의 조감도. 수도권 최대 규모로 이르면 2026년 개장한다. 사진 서울시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경기 연천군 군남면 일대 임진강 유원지 부지 약 12만㎡에 조성한다. 이는 수도권 최대 규모의 반려동물 테마파크라고 한다. 이곳에는 반려동물 동반 캠핑장과 수영장, 반려견 놀이터, 훈련소, 동물놀이터, 동물미용실 등이 들어선다. 테마파크는 올해 조성을 시작해 이르면 2026년쯤 개관할 예정이다. 시는 테마파크 조성·운영을, 연천군은 기반 시설 공사, 임진강 하천구역 정비 등을 맡는다. 건립비용은 450억원 정도 들어갈 전망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최근 연천군과 ‘서울 반려동물 테마파크·추모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인구감소 등으로 인한 지방소멸을 걱정하는 연천군과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가는 서울시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 공공 반려동물 테마파크가 경기 여주·오산 등 2곳에 불과하다”라며 “서울을 포함해 경기 북부지역에는 단 한 곳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서울지역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약 90만 가구(22.2%), 반려동물 수는 114만7000여 마리에 이른다. 연천군 역시 군민에 더해 생활인구를 늘려야 하는 처지다. 생활인구에는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머무는 사람도 포함한다. 연천군 면적은 675.83㎢로 서울시 605.2㎢보다 넓지만, 인구는 지난해 12월 기준 4만1000여명이다.

서울시가 경기도 연천군과 함께 손을 잡고 조성 예정인 '반려동물 테마파크'의 조감도. 수도권 최대 규모로 이르면 2026년 개장한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경기도 연천군과 함께 손을 잡고 조성 예정인 '반려동물 테마파크'의 조감도. 수도권 최대 규모로 이르면 2026년 개장한다. 사진 서울시

테마파크 인근 약 5000㎡ 부지에는 ‘반려동물 추모관’도 만든다. 서울에서는 한해 13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 사체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 중 46.8% 정도만 ‘반려동물 장묘시설’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서울시는 보고 있다. 동물 장묘시설은 전국에 총 73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공공시설은 전북 임실 한 곳뿐이다.
이수연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추모관에 화장장 또는 건조장·봉안당 등 시설을 갖춰 시민들이 서울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반려동물을 떠나보낼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 테마파크는 전국 곳곳에 설치 중이다. 2021년 경북 의성군이 '의성 펫 월드'를 만든 데 이어 울산시·경기도 등이 운영 중이다. 의성 펫월드에는 놀이터·풀장·카페·공연장·캠핑장 등 시설이 있다. 대전·부산·천안·순천시 등도 테마파크 조성을 추진 중이다. 자치단체는 아니지만, 한국공항공사도 지난해 10월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여객터미널 인근에 8000㎡ 규모의 펫 파크를 조성했다.

지난해 10월 김포국제공항 터미널 인근에 개장한 펫 파크의 모습. 사진 한국공항공사

지난해 10월 김포국제공항 터미널 인근에 개장한 펫 파크의 모습. 사진 한국공항공사

이런 가운데 테마파크 인근 주민이 개에 물리는 사고나 유기 동물 발생 가능성 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단순 관광시설 등으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대 정광호 행정대학원 교수는 “반려동물과 반려인이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 못지않게 반려인 교육과 반려동물 등록제도 강화 등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테마파크를 조성해야만 한다면 유기동물 입양센터, 동물문화 교육센터를 함께 짓고 등록이 안 된 동물은 출입을 금하는 등 조치도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