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펜 이어 하버드도 사임…‘반유대 논란’ 美 명문대 총장 중 MIT만 남아

중앙일보

입력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이 지난해 12월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논란과 관련해 열린 하원 교육ㆍ노동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이 지난해 12월 5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논란과 관련해 열린 하원 교육ㆍ노동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샐리(MIT 총장)는요?”
2일(현지시간) 미국 하버드대 클로딘 게이 총장 자진 사임 소식에 유대계 혈통의 헤지펀드 거물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캐피털 회장이 소셜미디어 글을 통해 보인 반응이다. 게이 총장 사임은 지난해 12월 미 하원 청문회 출석 당시 학내 반(反)유대주의 대처에 미온적이었다는 이유로 퇴출 압박을 받아온 명문대 총장 세 명 중 펜실베이니아대(유펜) 전 총장 엘리자베스 매길에 이은 두 번째 낙마다. 논란에 휩싸였던 총장 셋 중 애크먼 회장이 거론한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만 남은 셈이다.

게이 총장은 이날 공개 서한을 통해 “구성원들과 협의한 결과 내가 사임하는 게 학교를 위해 최선이라는 게 분명해졌다”고 자진 사퇴 배경을 밝혔다. 이어 “우리 공동체의 유대를 훼손하는 긴장과 분열을 목격하는 것은 고통스러웠다”며 “인종적 적개심에 기반한 인신공격과 위협을 받는 것은 두려운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흑인 출신 최초 하버드대 총장…‘최단명’ 기록

게이 총장은 아이티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 지난해 7월 하버드대 최초의 흑인 총장이자 두 번째 여성 총장으로 선임됐다. 하지만 5개월여 만에 물러나면서 1636년 하버드대 설립 이래 ‘최단명 총장’이 됐다. 하버드대는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에 비판적 시각을 보여 온 앨런 가버 교무처장을 임시 총장으로 임명했다.

이번 일은 이스라엘ㆍ하마스 전쟁 이후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시위에 학교 측 대응이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일면서 촉발됐다. 지난해 12월 5일 하버드대 게이 총장, 유펜 매길 전 총장, MIT 콘블루스 총장이 미 하원 교육ㆍ노동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유대인 학살’을 외치는 일부 학생들이 대학 윤리규범을 위반했냐는 질문에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다소 모호한 답변을 해 친유대계와 보수층의 반발을 불렀다. 게이 총장은 당시 “하버드대는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인정한다”고 했었다.

지난해 12월 5일(현지시간) 미국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논란과 관련해 열린 하원 교육ㆍ노동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클라우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 엘리자베스 매길 당시 펜실베이니아대 총장, 파멜라 네이덜 아메리칸대 역사ㆍ유대인학 교수,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앞줄 왼쪽부터). AFP=연합뉴스

지난해 12월 5일(현지시간) 미국 대학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논란과 관련해 열린 하원 교육ㆍ노동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클라우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 엘리자베스 매길 당시 펜실베이니아대 총장, 파멜라 네이덜 아메리칸대 역사ㆍ유대인학 교수, 샐리 콘블루스 MIT 총장(앞줄 왼쪽부터). AFP=연합뉴스

하원 불려나온 셋 중 MIT 총장만 남아

이후 친유대계를 중심으로 이들 총장에 대한 퇴임 운동이 거세게 일었고 가장 먼저 매길 전 총장이 청문회 나흘 만인 12월 9일 자진사임했다. 게이 총장 역시 퇴진 요구가 불붙었지만 하버드대 교수ㆍ교직원 수백 명이 총장 지지 탄원서를 내 감쌌고 하버드대 이사회가 재신임 방침을 밝혀 위기를 넘기는 듯했다.

그러나 연구 부정행위 의혹에 이어 최근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이 추가로 제기되면서 게이 총장과 학교 측이 더는 버티기 힘들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이로써 지난해 12월 유대인 혐오 논란과 관련해 하원 청문회에 불려나온 아이비리그 명문대 총장 셋 중 둘이 하차하게 됐다.

이번 사태의 배후에는 ‘헤지펀드 큰손’ 애크먼 회장의 집요함이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매길 전 총장 퇴임 소식에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한 명 처리 완료”라는 글을 올렸던 애크먼 회장은 게이 총장 해임을 촉구하는 서한을 대학 이사회에 보내기도 했다. 1966년생으로 하버드대 사회학과 및 같은 대학 MBA 출신인 그는 모교에 수천만 달러를 기부하며 입김을 행사해 왔다. 미국 민권운동 단체 ‘전국행동네트워크’를 이끌고 있는 인권운동가 알 샤프턴 목사는 “이번 일은 여성 유리천장을 깬 이 나라 모든 흑인 여성에 대한 공격”이라며 오는 4일 뉴욕에 있는 애크먼 회장 사무실 앞에서 피켓 시위를 열 계획이라고 했다.

미국 내 표현의 자유 논란 촉발 조짐

2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 건물 앞. 이날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은 자진 사임을 발표했다. AP=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하버드대 캠퍼스 건물 앞. 이날 클로딘 게이 하버드대 총장은 자진 사임을 발표했다. AP=연합뉴스

하버드대 구성원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 교수들 사이에선 “끔찍한 순간이다. 대학의 독립성에 전쟁을 선포했다”(칼릴 지브란 무하마드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 “이보다 실망스러울 수 없다. 우리는 공개적인 사냥을 당했다”(앨리슨 프랭크 존슨 하버드대 역사학 교수) 등 반발이 나왔다. 반면 하버드대 유대인 동문회는 성명을 통해 “많은 유대인이 하버드에서 공부하고 신분을 밝히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다. 게이 총장은 그런 증오를 퍼뜨리는 사람들을 암묵적으로 부추겼다”며 퇴임을 환영했다.

이번 일이 미국을 지탱해 온 오랜 핵심 가치인 표현의 자유, 그리고 학내 자율성과 관련된 논란을 촉발할 조짐도 보인다. 워싱턴포스트(WP)는 “게이 총장 사임 여파로 언론의 자유, 학교의 다양성, 그리고 이 나라 교육을 누가 만들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전국적인 논쟁이 격화됐다”고 보도했다. 스티븐 핑커 하버드대 인지심리학 교수는 “아무리 추악한 표현이더라도 그 자체로 처벌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다만 하버드대 출신 벤처 캐피털리스트 샘 레신은 WP 인터뷰에서 “캠퍼스 내 언론의 자유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일관되게 적용되지도 않는다”며 “게이 총장 퇴임은 중요한 조치이지만 대학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