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의사과학자, 선진국 수준으로 늘린다…“의대 졸업생의 3%까지 확대”

중앙일보

입력

의사과학자 관련 일러스트. 일러스트=김지윤

의사과학자 관련 일러스트. 일러스트=김지윤

정부가 현재 의과대학 졸업생의 1.6%에 불과한 ‘의사과학자’를 3%까지 늘리기로 했다. 의사과학자는 환자 진료보다 의학 관련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는 의사를 말한다. 의사과학자 배출을 늘리기 위해 관련 연구개발(R&D) 지원에만 내년도 예산 495억원을 쏟는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의 의사과학자 양성 전략을 논의했다. 혁신위는 지난 2월 대통령 주재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추진키로 한 범정부-민간 합동 컨트롤타워로, 이날 첫 회의를 열고 본격 출범했다.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12개 중앙행정 기관장과 분야별 민간위원 17명으로 구성됐다.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경쟁 우위 및 초격차 확보’ 등이 혁신위가 내세운 목표다.

한덕수 총리는 회의에서 “세게 각국은 미래 산업을 주도할 바이오헬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이미 국가 차원의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며 “혁신위를 통해 현장이 체감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의사과학자 양성 계획이 공개됐다. 의사과학자는 바이오헬스 산업에 필수적인 인력이지만, 국내 의학 교육은 임상의사 양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지난 3년간 배출된 의사과학자는 의대 졸업생의 1.6%(142명)에 불과했다.

반면 미국은 1964년부터 의사과학자 육성프로그램(MSTP)을 운영해 매년 의대 졸업생의 3% 정도인 600여명을 의사과학자로 길러내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한 공으로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드류 와이스만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대표적인 의사과학자로 꼽힌다.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회의가 열렸다. 뉴시스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회의가 열렸다. 뉴시스

정부는 현재 의사과학자 양성 과정 등에 한계가 있다 본다. 각종 지원을 확대하고, 제도를 개선한다. 안정적인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최대 11년까지 국가가 연구를 지원하는 의사과학자 특화 경로를 만든다. 현재는 연구 기간 2년 안팎의 신진 의사과학자만 지원하는데, 신진(3년)→심화(3년)→리더(5년) 등 경력별 맞춤 연구지원 트랙을 마련한다. 연간 92명(신진 40명, 심화 30명, 리더 22명)의 연구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의사과학자는 전공의 수련 이후 박사 취득까지 학업 기간이 길어지다 보니 특화된 지원 트랙이 필요하다”며 “의사과학자 연구 지원에만 내년도 예산 49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사학위 과정 중 중단 없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병역제도 개선도 추진된다. 현재 군 전문연구요원 제도(박사과정)를 통해 의사과학자 진로를 유지하도록 돕고 있지만, 내과·정신과·예방의학과 등 ‘군 필요 의학계열 전문과목’으로 지정된 과목의 전공의는 군의관으로 우선 선발돼 연구 요원이 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학병원 등에서 교수가 진료 대신 연구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시간에 대한 인건비 일부를 정부의 R&D 예산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내년도 바이오헬스 R&D 투자계획, 바이오헬스 혁신을 위한 규제 개선 방안 등도 논의됐다. 주요 R&D 과제로는 임무 중심의 도전·혁신적 연구를 지원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가 꼽힌다. 향후 10년간 2조원을 투입해 보건안보, 미정복 질환 극복 등 시급한 5대 보건 난제를 해결토록 한다는 취지다. 미국에서 추진된 동명의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제도가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규제 장벽을 철폐할 방안도 언급됐다. 혁신위는 ‘바이오헬스 산업현장 규제개혁마당’(가칭)을 설치해 상시적으로 현장 목소리를 수렴, 규제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선 그간 발굴된 과제 가운데 ▶혁신적 의료기기 시장 선진입-후평가 ▶신약의 혁신가치 적정 보상 및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 ▶첨단재생의료 환자 접근성 확대 등 7가지 규제에 대한 개선책이 논의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