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스토리] 항공산업 중소 협력업체에 자금·인력 등 지원해 글로벌 성장 도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한국항공우주산업

2023년 협력업체 수 80개로 늘어
긴급자금 지원 등 경영 안정화 도와
안정적인 수주 통해 동반성장 모색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긴급자금 지원 등을 통해 국내 항공업체의 경영 안정화를 돕고, 안정적인 해외 수주로 동반성장을 모색하고 있다. 사진은 KAI 산청공장 전경. [사진 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긴급자금 지원 등을 통해 국내 항공업체의 경영 안정화를 돕고, 안정적인 해외 수주로 동반성장을 모색하고 있다. 사진은 KAI 산청공장 전경. [사진 KAI]

A320 WBP(Wing Bottom Panel) 체결 작업을 하는 KAI 산청공장 직원들.

A320 WBP(Wing Bottom Panel) 체결 작업을 하는 KAI 산청공장 직원들.

코로나19엔데믹 이후 세계 항공운송 시장이 회복기로 전환됨에 따라 민항기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물류 대란, 운송비 상승과 같은 요인과 최근 국제 전쟁, 인플레이션, 환율변동, 원자재·부품 공급 부족,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혼란은 더욱 확대되면서 항공기 생산은 더뎌진다.

특히 기체구조물 시장의 공급망 하위에 있는 부품 업체들은 그동안의 물량 급감, 실적 악화,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재무건전성이 부실해져 경영 위기 상황에 놓였다. 전체 공급망은 하위 공급망에 자리하는 중소업체들의 인력 수급난 장기화로 정체된 상태다.

이처럼 글로벌 민항기 산업의 공급망에 속해 있는 국내 항공업체들은 지난 2019년부터 코로나19 영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미국의 보잉과 유럽의 에어버스에 기체구조물을 납품하는 국내 최대업체 한국한공우주산업(KAI)도 한때 기체사업의 매출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절반까지 떨어지면서 KAI와 함께 기체사업을 하는 많은 국내 중소 협력업체들도 물량의 급격한 감소로 경영에 큰 위기를 겪었다.

이에 KAI는 공급망 정책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신규물량 수주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 민수 항공산업은 민항기의 기체구조물 제작을 중심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KAI·대한항공과 같은 국내 대기업과 다른 중소기업들이 함께 협력하는 상생·동반성장형 산업구조다.

국내 항공업체 경영난 여전

현재 국내 항공업체들은 영세성이 높은 중소기업들이 대부분으로, 국내 항공산업의 유지·발전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 글로벌 경쟁력을 만들고, 해외에서 안정적인 대규모 생산물량을 수주해 함께 성장해가고 있다. KAI 기체사업의 경우 국내 중소 협력업체들에서 많은 부분을 외주생산하고 있다. KAI의 협력업체는 2022년 44개사 전체 인력 4700명 수준으로, 협력업체 전체매출의 34%가량이 KAI의 사업이다. 2023년에는 생산물량의 증가에 따라 업체 수도 80개로 확대됐다.

또한 KAI는 국내 항공산업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영이 어려워진 중소 협력업체들에 단가 인상, 경영위기 긴급자금, 상생 자금, 상생 협력기금 등을 통해 경영 안정화를 지원하고 정부와 함께 유급휴가훈련 등 일자리의 안정을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19엔데믹 이후 항공운송수요 증가와 민항기 생산 정상화에도 국내 중소업체들은 아직 경영위기와 인력 부족을 겪고 있으며, 급증하는 생산물량을 적기에 납품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KAI의 일부 중소 협력업체들은 코로나19 기간 숙련된 생산 인력의 이탈과 잦은 변동으로 생산 기반이 약화해 생산성이 크게 하락했고, 품질결함과 함께 납기지연과 결품도 증가하면서 실적 부진으로 인한 경영위기를 버티지 못하고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중소 협력업체 경영·일자리 안정화 지원

현재까지 국내 중소업체들은 인플레이션, 높은 환율,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등의 영향으로 재료비가 상승하고 원소재와 부품 조달 기간이 증가해 생산 일정 차질이 빈번한 상태다. 최저임금의 상승과 청년층의 제조업 기피 현상 등으로 신규인력의 충원이 어렵고, 부족한 재무여력으로 신규 생산설비의 투자도 어려워 여전히 생산역량이 부족하다.

KAI 관계자는 “글로벌 항공산업이 다시 성장세로 전환된 상황에서 영세한 중소업체들이 대부분인 국내의 항공산업 생태계가 자립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업기반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며 “먼저 경영위기 상태에 있는 중소업체에 대한 경영 안정화와 신규투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저리 대출, 이차보전 지원, 기존대출 상환유예 등 정책자금의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업체의 인력 부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긴요하다”며 “국내 인력 수급이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부족한 인력을 충원할 수 있도록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 확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항공산업 인력 비자 제도 신설·확대 등 정책 강화와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탈한 숙련인력을 조기에 대체할 수 있도록 최신 기술이 접목된 실무 중심 맞춤형 산업인력 교육을 통해 신입 인력이 빠르게 핵심인재로 육성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며 “부족한 생산인력을 보완하기 위한 생산 인프라의 최신화와 공정 자동화도 확대해 나가야 한다. KAI는 앞으로도 생산공정 기술지도, 과부하 물량 분산조정, 제조혁신 활동 지원, 생산환경개선 지원 등을 통해 중소 협력업체들의 생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