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청년층 인구 비중 30% 아래로 뚝…주택소유 비율 줄고 빚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청년과 주거대책. [일러스트=김지윤]

청년과 주거대책. [일러스트=김지윤]

저출산 고령화로 청년층 인구 비중이 30% 밑으로 떨어진 가운데 이들의 삶은 다른 연령층보다 더 팍팍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10명 중 4명은 빚이 있고, 대출잔액 증가율은 다른 연령대 대비 가장 크게 뛴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해까지 중장년층(만40~64세)만 집계했던 걸 이번에 처음으로 청년층(만 15~39세)과 노년층(만65세 이상)까지 확대했다.

중장년·노년 인구 증가할 때 청년층 나 홀로 감소

결과를 보면 청년층 인구는 1년 전보다 더 쪼그라들었다. 전체 인구 중 중장년층이 2020만명으로 40.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청년층이 29.9%(1492만명), 노년층이 18.1%(905만명)로 뒤를 이었다.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가 각각 0.1%(2만2000명), 4.9%(42만6000명) 증가할 때 청년층 인구는 2.4%(36만3000명) 감소하면서 전년도 전체 인구 중 30.5%였던 비중이 30%대 아래로 뚝 떨어졌다. 앞으로 노년층 인구 비중이 청년층을 빠르게 따라잡으면서 인구 피라미드 구조가 항아리형에서 점차 역삼각형 구조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청년층, 중장년층과 소득 격차 커져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다. 연간 평균소득은 중장년층이 4084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청년층이 2781만원, 노년층이 1771만원으로 조사됐다. 중장년층이 청년층의 1.5배, 노년층의 2.3배를 버는 셈이다. 청년층과 중장년층 간의 소득 격차는 전년도 1277만원에서 1303만원으로 심화됐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지난해 11월 기준 금융권 대출을 보유한 인구의 대출 잔액 중앙값은 중장년층이 606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청년층은 4000만원, 노년층은 3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앙값은 대출잔액을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값을 말한다.

다만 세부 연령별로 보면 35~39세의 대출잔액 중앙값이 8000만원으로 전 연령 중 가장 많았다. 증가율도 청년층이 5.4%(3794만→4000만원)로 중장년층 4.4%(5804만→6060만원), 노년층 3.2%(3199만→3300만원)보다 가팔랐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하지만 주택을 보유한 비율은 청년층에서 유일하게 감소했다. 중장년층은 전체의 44.3%가 노년층은 44.5%가 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각각 0.5%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청년층에선 주택 보유 비율이 11.8%에 그쳤다. 1년 전보다 0.6%포인트 줄었다. 이른바 '영끌'로 집을 샀다가, 고금리에 빚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집을 다시 내놓은 결과로 해석된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과 같은 세대 간 간극을 줄이기 위해선 부동산 가격을 내리는 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양 교수는 “인위적으로 내릴 수 없으니 아파트 공급을 늘려 부동산 가격을 좀 더 내려야 한다. 그럼 노년층이 가지고 있는 자산 가격이 자연스레 내려가고, 청년층은 보다 저렴한 가격에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