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재생 설비 입찰 '해상풍력' 몰렸다…작년 14배 낙찰, 보급에 속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제주도의 한 해상풍력발전소 전경. 중앙포토

제주도의 한 해상풍력발전소 전경. 중앙포토

올해 신재생 발전 설비의 경쟁입찰 결과 해상풍력 부문에 사업자가 몰렸다. 지난해의 14배 수준인 1.4GW가 낙찰됐다. 향후 태양광보다 해상풍력 중심으로 신재생 설비 확충이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이러한 내용의 풍력·태양광 설비 경쟁입찰 결과를 한국에너지공단이 확정·통보했다고 밝혔다. 올해 입찰 결과 태양광은 60㎿(175개 사업), 해상풍력 1431㎿(5개), 육상풍력 152㎿(4개)가 각각 낙찰됐다. 낙찰된 사업자들은 발전 공기업 등 신재생 공급 의무사들과 20년 장기 계약을 맺고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특히 태양광 대신 해상풍력에 입찰이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1000㎿를 공고한 태양광 설비는 그 6.6%인 66㎿ 입찰에 그쳤다. 반면 해상풍력은 공고 물량(1500㎿)을 훌쩍 넘긴 2067㎿가 입찰 됐다. 낙찰 물량도 지난해(99㎿)의 14배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향후 보급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통상 1GW 수준인 개별 원전보다 많은 물량이다. 사업 지역으론 전남 완도·신안·영광 등이 선정됐다.

신재생 설비 입찰은 2017년 태양광에 이어 지난해 풍력으로 확대 적용됐다. 올해는 풍력 입찰 상한가격 비공개로 사업자 간의 '가격 경쟁'도 본격화했다. 해상풍력 부문이 뜨거웠던 건 대규모 설비 투자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조달 등에서 입찰시장 진입이 유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해상풍력 설비용량 1GW당 투자비는 약 5조원 이상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대로 태양광은 장기 보증 계약 성격인 입찰시장의 매력도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등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현물시장보다 떨어진다는 평가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물·입찰 시장 중에서 어느 쪽에 참여할지는 사업자들의 선택 문제로 태양광 신규 투자가 위축된 건 아니다. 현재 현물시장이 너무 좋아서 (사업자들이) 거기로 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향후 정책 방향은 태양광보다 풍력 보급에 무게를 두고 있다. 태양광은 설치 부지에 한계가 있고, 소규모 중심이라 전력계통 불안 문제가 있어서다. 또한 2030년 풍력 보급 목표치인 19.3GW를 채우려면 대규모 해상풍력 설비를 늘려야 한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올해 풍력 입찰 공고량을 대폭 늘리고, 육상·해상을 나눠 따로 입찰·평가했다.

전문가들도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신재생 발전 비중 21.6%를 맞추려면 국내 상황에 맞는 해상풍력 확충에 속도를 붙여야 한다고 본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교수는 "삼면이 바다인 데다 서해안 등에 많은 바람이 부는 만큼 해상풍력 입지 조건이 나쁘지 않다. 전남·제주뿐 아니라 인천 등 수도권에도 들어설 수 있다"면서 "빡빡한 2030년 신재생 발전 목표치를 채우려면 태양광보다 해상풍력 중심으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이번 입찰 평가 과정서 가격과 함께 국내 관련 투자, 터빈·케이블 등 기자재 같은 산업경제 기여도도 중요하게 반영했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품목은 기술·가격 요인으로 국내 기업의 공급망 참여가 제한적일 거라고 보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점차 확대되는 풍력 시장에서 에너지 안보를 고려한 생태계 강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천구 초빙교수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인 해상풍력 업계의 경쟁력 강화가 숙제"라면서 "덴마크·네덜란드 등 기술력 높은 유럽 업체들과 손잡으면서 빠르게 따라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