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래 먹거리' K로봇 시장 20조로 키운다…'3조+α' 투자, 100만대 보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대전, 소프트웨이브 2023'에서 어린이와 어르신을 위한 소셜로봇이 시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대전, 소프트웨이브 2023'에서 어린이와 어르신을 위한 소셜로봇이 시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미래 먹거리' K로봇 시장을 2030년까지 20조원 규모로 키우기로 했다. 민·관 합쳐 3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돌봄·배송 등 산업 전반에 로봇 100만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방문규 장관 주재로 첨단로봇 산업전략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가능인구 감소 같은 인구구조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로봇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취지다.

첨단로봇은 자동차·조선 등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방위 산업과 항공, 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 쓰일 수 있어 잠재력이 크다. 반도체·배터리·IT(정보기술) 등 국내 후방 산업이 탄탄해 기술력을 확보하기도 용이한 편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 규모도 2021년 282억 달러에서 2030년 831억 달러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정부는 K로봇 생태계를 국내에서부터 탄탄히 구축해 해외 진출을 꾀한다는 목표다. 2021년 5조6000억원 안팎인 시장 규모를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3조원+α'를 투자해 기술·인력·기업 경쟁력을 함께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감속기·자율조작 등 8대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내년 상반기 중으로 구체적인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 로봇 전문인력은 미래차·드론 등 모빌리티 산업과 연계해 1만5000명 이상 양성해 총 5만명 규모로 키운다. 매출액 1000억원 이상인 지능형 로봇 전문기업도 기존 5개에서 2030년 30개 이상으로 육성한다.

또한 제조업부터 물류, 복지까지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로봇 100만대 이상을 대폭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2030년까지 요양원·병원 등 돌봄·의료 부문, 음식점·카페 등 식음료 자영업에 각각 30만대씩 투입하기로 했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로봇 투입으로 생산 현장은 확 달라진다. 1인당 노동생산성은 연평균 3.4%씩 높이지만, 산업 재해는 줄이겠다는 목표다. 2021~2030년 기간에만 생산가능인구 320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로봇과의 협업으로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셈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돌봄·의료 등 (사람들이) 힘들고 잘 가지 않는 분야를 많이 넣었다. 로봇과 마찰을 줄이면서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20년 넘은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해 규제를 혁신하고 로봇 산업계를 적극 지원한다. 로봇 특화형 보험제 신설 등으로 혹시 모를 안전성 문제도 챙기기로 했다. 내년부터 대구에 2000억원을 투입해 K로봇 실증을 위한 '국가로봇테스트필드'도 만든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내 로봇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라 작기 때문에 새로운 혁신 로봇 (경험을) 국내 기반으로 쌓아서 해외 시장도 노려보겠다. 시장 진입에 걸림돌이 많은 사회적 제도·환경도 사람과 로봇이 함께 하는 쪽으로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