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COP28 “탈화석연료 전환” 합의…‘퇴출’ 대신 ‘감축’ 그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13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화석연료로부터 전환(transition)’을 명기한 합의안이 채택되자 술탄 아흐메드 알자베르 COP28 의장(오른쪽)이 박수를 치고 있다. [AP=연합뉴스]

13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화석연료로부터 전환(transition)’을 명기한 합의안이 채택되자 술탄 아흐메드 알자베르 COP28 의장(오른쪽)이 박수를 치고 있다. [AP=연합뉴스]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 참가국들이 진통 끝에 화석연료에서 멀어지는 이른바 ‘탈화석연료 전환’에 합의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COP28은 폐막일을 하루 넘긴 13일 ‘탈화석연료 에너지 전환’ 문구를 담은 합의문을 채택했다. 앞서 의장국 UAE가 작성한 합의문 초안에 ‘화석연료 퇴출’ 문구가 빠져 논란이 일었다. 마라톤 회의 끝에 ‘탈화석연료 전환’이라는 큰 틀의 합의가 이뤄졌다.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의 이선우 외교팀장은 “COP27까지는 화석연료 문제가 합의문에 들어가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감축이라는 목표를 합의문에 분명히 적었다는 점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번 합의문에는 그밖에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2030년까지 3배로 늘린다 ▶화석연료 보조금을 가능한 한 빨리 퇴출한다 ▶탄소포집·저장(CCUS) 기술 등 저배출·무배출 기술 발전을 가속한다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국제사회는 2050년 넷제로(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탈화석연료를 제시했는데, 한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합의문에 ‘석탄 발전의 단계적 감축’이 삽입됐기 때문이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2050년에도 국내에서는 석탄발전소를 가동한다. 삼척 석탄화력발전소(삼척 블루파워)가 내년 초부터 2053년까지 가동할 예정이다. 이번 COP28에서는 석탄 발전 감축과 탈화석연료 전환 시한을 못 박지는 않았지만, COP29나 COP30에서 이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문양택 산업통상자원부 전략산업정책과장은 “국제사회가 감축해야 한다는 석탄 발전은 저배출 장치를 달지 않은 것”이라며 “삼척 발전소는 CCUS장치를 갖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수소연료, CCUS 등 저배출 기술 발전 등을 통해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COP28에서 정부가 띄운 무탄소연합(CF100)이 이를 담고 있다. 단순히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다’보다 ‘배출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국제사회 공감은 얻지 못한 분위기다. CF100에 가입한 다른 국가가 없고, 이번 COP28 기간 한국은 국제시민단체 기후행동네트워크의 ‘오늘의 화석상’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썼다.

정부는 앞서 글로벌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3배로 확대한다는 합의문에 서명했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5% 미만으로, 10%대인 세계 평균에도 못 미친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지금의 3배로 늘려도 국내 비중이 15% 수준이라 부담은 크지 않다.

다만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 기업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전력 비중은 38%로, 석탄을 제치고 최대 전력원이 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지금처럼 국제적으로 계속 ‘기후 악당’으로 지목될 경우 기업 등이 해외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