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병기 ‘필향만리’

久而敬之(구이경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제나라 대부였던 안평중(晏平仲)에 대해 “남과 사귀기를 참 잘하는구나. 오래되어도 공경하니!”라며 칭찬했다.

흔히 ‘공경 경’이라고 훈독하는 원문 속의 ‘敬’은 대개 ‘주일무적(主一無適)’ 즉 ‘하나를 주로 삼아 집중함으로써 그로부터 떠남이 없다’는 뜻으로 풀이한다. 그러므로 공자가 안평중을 평한 ‘구이경지(久而敬之)’란 말은 ‘사귐이 오래되어도 그 사람에게 집중하여 마음을 딴 데로 옮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마음을 딴 데로 옮기는 것이 곧 배반이다. ‘久而敬之’라야 배반이 없다.

久: 오랠 구 而: 말 이을 이(but), 敬: 공경 경. 오래되어도 공경하다. 24x75㎝.

久: 오랠 구 而: 말 이을 이(but), 敬: 공경 경. 오래되어도 공경하다. 24x75㎝.

“화호화피난화골(畵虎畵皮難畵骨), 지인지면부지심(知人知面不知心)”이라는 말이 있다. “호랑이 겉가죽 무늬는 그릴 수 있어도 뼈는 그리기 어렵고, 사람 얼굴은 알아도 마음은 알 수 없다”는 뜻이다. 중국 명나라 때의 소설가 풍몽룡(馮夢龍)이 엮은 단편소설집 『유세명언(喻世明言)』 제1권에 나오는 말이다.

요즈음 우리 사회는 마음을 알 수 없는 배반이 횡행하고 있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라는 말을 오히려 당연시하는 것 같다. 특히 정치판이 그렇다. ‘믿음’이 없다. 믿음이 없이는 함께 미래를 설계할 수 없고, 미래를 설계할 수 없으면 망한다. ‘久而敬之’의 믿음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