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집값 부담 커지자 새집 대신 오래된 집으로 눈돌린다

중앙일보

입력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 인근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 인근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최근 수도권의 10년 이상된 아파트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고금리 장기화와 정책금융 축소 등으로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면서 매수자들이 새아파트보다 집값이 저렴한 집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11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수도권 아파트 가운데 준공 10년 이하인 아파트는 거래 비중이 감소했지만, 10년 초과인 경우 그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준공 21∼30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 비중은 1분기 26.9%에서 4분기 33.0%로 6.1%P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11∼20년 이하 아파트는 25.8%에서 27.1%로, 30년 초과의 경우 9.8%에서 11.4%로 각각 증가했다.

하지만 준공 5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 비중은 4분기 17.1%로 1분기보다 5.1%P 줄었다. 6∼10년 이하 역시 15.4%에서 11.4%로 감소했다.

부동산R114

부동산R114

부동산R114는 “오래된 아파트의 주거 선호도가 낮은데도 거래 비중이 커진 주원인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있다”며 “주택 시장이 회복되면서 새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자 매수자들이 지은지 10년 이상된 집으로 선회하거나 매수를 보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거래된 준공 21∼30년 이하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 가격은 2167만원인데 반해 5년 이하는 2989만원이었다.

한편 준공 30년 초과 아파트 거래가격은 3.3㎡당 3297만원으로 가장 비쌌는데, 이는 재건축을 앞두고 있거나 현재 추진 중인 아파트가 다수 포함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올해 서울 강남구 개포동 서원대치2단지, 대치동 은마,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등 고가 단지에서 80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 모기지가 축소되면서 현금 보유분이 많아야 한다는 점도 신축 아파트의 매수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최근 거래가 급감하는 분위기지만 인허가와 착공 등 주택 공급지표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어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커졌다.

새소유자들은 오른 호가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 공급 측면에서도 집값 급등기에 ‘영끌(대출 등을 영혼까지 끌어모아)’ 매수가 많았던 중저가 밀집지역 등에서는 이자 부담 증가로 처분하려는 급매물이 늘어날 여지가 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경기 위축과 맞물린 집값 추가 하락 우려에 매수자들이 가격 협상이 용이한 매물이 관심을 두는 분위기”라며 “한동안 10년 이상된 아파트 거래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