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키마우스·헬로키티처럼…“K콘텐트 이끌 수퍼 IP 키워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지난 28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콘텐츠 IP 마켓 2023’에서 방문객들이 참가업체 관계자들과 상담하고 있다. [사진 한국콘텐츠진흥원]

지난 28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콘텐츠 IP 마켓 2023’에서 방문객들이 참가업체 관계자들과 상담하고 있다. [사진 한국콘텐츠진흥원]

헬로키티 캐릭터는 어떻게 50년간 세계적으로 사랑받을 수 있었을까. 일본 산리오의 쓰지 도모쿠니 사장은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콘텐츠 IP 마켓 2023’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캐릭터 브랜딩’을 답으로 내놨다. 그는 “특별한 스토리보다 늘 곁에 있는 친근한 느낌을 주는 게 캐릭터의 존재 의미”라며 “전 세계 사람들이 캐릭터에 자기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여러 라이선싱 사업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일본의 대표적 수퍼 IP(지식재산권) 헬로키티의 장수 비결이다.

1974년 헬로키티를 필두로 캐릭터 사업에 뛰어든 산리오는 꾸준히 캐릭터 IP를 발굴했다. 쿠로미·마이멜로디·시나모롤 등 유명 캐릭터가 탄생하면서 헬로키티 의존도가 줄었다. 2017년까지도 북미시장 매출의 90%였던 헬로키티는 2022년 40%로 줄었고, 다양한 캐릭터들이 이를 대신했다. 한 기업이 100여 개국에서 1000여 건의 라이선싱 사업을 할 수 있었던 이유다. 쓰지 사장은 “캐릭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 것이 성공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첫날 개막식 기조연설에는 헬로키티 캐릭터로 유명한 산리오의 쓰지 도모쿠니 사장(사진)이 나섰다. [사진 한국콘텐츠진흥원]

첫날 개막식 기조연설에는 헬로키티 캐릭터로 유명한 산리오의 쓰지 도모쿠니 사장(사진)이 나섰다. [사진 한국콘텐츠진흥원]

캐릭터 만이 아니다. 스토리·웹툰 등 원천 IP 활용이 중요한 시대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이 이날부터 사흘 간 ‘콘텐츠 IP 마켓 2023’ 행사를 연 취지다.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다양한 부가사업을 논의하는 비즈니스 장이다. 콘텐트 기업 70곳이 부스를 차리고, 애니·웹툰·스토리·캐릭터·게임 등 IP 홍보에 나섰다. 바이어 676명이 방문해 원작의 영상화나 캐릭터의 상품화를 논의했다. 이날 하루만 569건의 상담이 진행됐다.

행사장 한쪽에선 수퍼 IP 발굴과 육성을 위해 업계와 정부가 의견을 모으는 자리가 마련됐다. 유현석 콘진원 부원장은 “K팝을 비롯해 드라마·웹툰 등 우리 콘텐트가 인기를 끌지만, 정작 IP 비즈니스는 활발하지 않다”고 ‘K-콘텐츠 IP 글로벌 포럼’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보고 듣고 먹고 마시고 체험하는 일상 속 모든 곳에서 콘텐트 IP를 접할 수 있다”며 “대개 파워퍼프걸·포켓몬스터·헬로키티 등 글로벌 수퍼 IP인데, 우리 콘텐트 IP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콘진원은 지난 7월부터 전문가 10여명과 함께 콘텐트 IP와 여러 산업 분야를 연계할 방안을 논의했다. 넷마블(게임), 카카오엔터테인먼트(웹툰·웹소설), 하이브(음악), 와이낫미디어(영상) 등 IP를 생산하거나, GS리테일, 아모레퍼시픽 등 IP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 관계자들이 포럼에 참여했다. 발제를 맡은 김일중 콘진원 IP 전략TF팀장은 “1928년 태어난 미키마우스는 아직도 전 세계적 사랑을 받고, 포켓몬스터는 부가사업으로 120조원 넘는 수익을 낸다”며 “‘오징어게임’, BTS 등 K-콘텐트가 인정받는 만큼, 리메이크나 장르 전환을 넘어 다양한 사업에 IP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준형 GS리테일 플랫폼마케팅 팀장은 “상품 패키지에 단순히 IP를 입혀놨다고 고객이 지갑을 열지 않는다”며 “결국 팬덤을 구매 행위로 연결시키는 건 IP의 힘”이라고 말했다. 윤혜영 넷마블 IP사업실 실장은 “특정 IP 분야만이 아니라 하나의 IP에 여러 기업의 경쟁력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