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78억짜리 새 냉동 창고까지 필요"...정어리 급증에 비상 걸린 남해[르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젓갈 드럼통 1만개 꽉 채운 그 생선

경남 거제시 둔덕면 '젓갈전문업체' 해금강식품에 정어리를 염장(鹽藏)한 드럼통 약 1만개가 쌓여 있다. 안대훈 기자

경남 거제시 둔덕면 '젓갈전문업체' 해금강식품에 정어리를 염장(鹽藏)한 드럼통 약 1만개가 쌓여 있다. 안대훈 기자

지난달 27일 경남 거제시 둔덕면 한 젓갈전문업체. 일명 ‘프리미엄 멸치액젓’을 만드는 회사다. 5259㎡(1593.6평) 규모 젓갈 공장 부지에는 높이 90㎝·지름 60㎝의 연녹색 드럼통 1만개가 쌓여 있다. 200㎏ 용량인 드럼통에는 소금에 절인 생선 250㎏이 위생비닐에 쌓인 채 고봉(高捧)으로 담겨 있었다. 염장(鹽藏)한 생선은 멸치가 아닌 정어리였다.

경남 거제시 둔덕면 '젓갈전문업체' 해금강식품. 젓갈용 드럼통에 소금에 절인 정어리가 숙성되고 있다. 안대훈 기자

경남 거제시 둔덕면 '젓갈전문업체' 해금강식품. 젓갈용 드럼통에 소금에 절인 정어리가 숙성되고 있다. 안대훈 기자

남해에 멸치 대신 정어리가 급증함에 따라 어업인과 자치단체 등에 비상이 걸렸다. 젓갈업체는 정어리로 액젓 담그기에 나섰다. 권윤석(56) 해금강식품 대표는 “올해 멸치가 씨가 말랐다”며 “대신 정어리가 계속 늘고 있는데, 이걸 상품(액젓)으로 못 만들면 우린 정말 위기”라고 했다.

비축공간 부족…178억 새 냉동창고 추진 

지난 9월 경남 거제시 칠천도 인근 해상에서 어선이 정어리 조업을 하고 있다. 사진 경남도

지난 9월 경남 거제시 칠천도 인근 해상에서 어선이 정어리 조업을 하고 있다. 사진 경남도

자치단체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남도는 떼죽음이 발생하기에 앞서 지난 6월부터 연안선망·정치망 등 어업선과 함께 선제적으로 정어리 잡아 왔다. 정어리를 제때 잡지 않으면 산소 부족 등으로 폐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해 집단 폐사로 인한 악취 때문에 주민들은 곤욕을 치렀다.

특히 경남도는 정어리 과잉 생산 등에 대비해 이를 비축할 냉동공장 설립도 추진 중이다. 일시적으로 정어리 어획량이 급증, 이를 냉동 저장할 시설이 부족해서다. 통영수협의 경우 지난 8월 냉동 보관능력(5836t)을 넘는 정어리 5974t을 위판했다고 한다.

도에 따르면 이 대책은 통영수협 제1·2·3냉동공장 중 1990년대 만들어 노후한 1공장을 철거, 새 냉동공장을 짓는 방안이다. 기존 1공장보다 저장량은 2350t→1800t으로 줄지만, 정어리를 영하 40도에서 급속 냉동하는 능력은 1일 87t→100t으로 늘어난다. 사업비는 178억원으로, 도는 국비 확보를 위해 국회와 해양수산부에 해당 사업비 지원을 건의했다.

지난 8월 경남 통영수협에서 급속 냉동된 정어리 등 수산물. 사진 경남도

지난 8월 경남 통영수협에서 급속 냉동된 정어리 등 수산물. 사진 경남도

경남도 관계자는 “여름철엔 고수온 영향으로 양식장에서 사료양을 줄여 정어리 판매처는 줄어드는데 추석을 앞두고 다른 어종도 냉동해 팔아야 하니 수협에선 정어리를 적게 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정어리 포함 다른 어종도 비축하려면 냉동 능력을 높인 수산물 보관 창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통조림·펫푸드·수출 ‘판로 개척’ 안간힘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이 개발 중인 '토마토소스 정어리 통조림'. 사진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이 개발 중인 '토마토소스 정어리 통조림'. 사진 국립수산과학원

경남도는 정어리 판로 다각화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냉동 정어리는 주로 해상 가두리양식장 사료용으로 팔린다. 이외 도는 어획량이 주는 멸치 대신 젓갈용으로 납품할 곳을 찾거나 국립수산과학원 등 관계 기관과 냉동 정어리를 쓴 펫푸드(Pet Food)·곤충사료를 개발하고 있다. 앞서 수산과학원은 정어리 통조림 가공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정어리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베트남 등 수출 판로도 개척 중이다. 베트남 펫푸드 가공공장에 쓰인 정어릴 원료를 러시아가 아닌 국내산으로 대체하는 작업이다. 도 관계자는 “정어리 위판금액이 1㎏당 550원인데, 러시아에서 가져와 베트남으로 수출할 때 금액이 그 정도여서 경쟁력은 있다”며 “베트남까지 가는데 산패(酸敗)가 발생하는지 보고 있는데, 조만간 시험 수출할 예정”이라고 했다.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올해 1~8월 전국 정어리 어획량은 2만2866t으로, 이 중 경남에서만 1만7991t이 잡혔다. 지난 한 해 전국 어획량(1만2030t)을 일찌감치 넘어섰다. 정어리는 2006년만 해도 통계에 기록되지 않을 정도로 어획량이 미미했지만, 지난해부터 급증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