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동결 유력'에…금리보다 국채 움직임 바라보는 11월 FOMC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로이터=연합뉴스

이달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의 키워드는 ‘기준금리’가 아닌 ‘국채’다. 기준금리 동결이 거의 확실시되는 가운데 국채금리 급등세 향방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다. 시장은 이달 기준금리 결정보다 미 재무부 국채 발행 계획에 관심을 쏟고 있다.

1일(현지시간) Fed는 기준금리를 발표한다. 시장은 최근 Fed 인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따라 현 수준(5.25~5.5%) 동결을 내다보고 있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인해 국제유가와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크고 연말 경기 둔화 가능성도 거론되는 만큼 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채 상황을 지켜볼 것이란 의미다.

미 장기 국채금리 상승세가 이미 긴축 효과를 더하고 있다는 점도 동결에 힘을 싣는 요소다.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달 16년 만에 5% 선을 넘은 뒤 4.8~4.9%대를 오가고 있다. 장기 금리가 오르면 기업과 가계의 금융비용을 높여 기준금리를 인상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이체방크는 “지난 9월 이후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긴축으로 인해 향후 1년간 경제활동이 0.6%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세 차례 올린 것과 맞먹는 수준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19일 “최근 몇 달간 장기 금리 상승 등으로 금융 여건이 상당히 긴축됐다”며 “금융 여건 변화는 통화정책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이 같은 국채금리 상승세는 미 국채 공급을 받아줄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는 데에 기인한다. 당장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로 달러 강세가 심화하자 해외 수요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세계에서 미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일본이 대표적이다. 지난해부터 극심한 엔저 현상에 시달리자 일본은행이 최근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서기 시작했는데, 이는 추후 엔화값을 높여 일본 투자자들이 미 국채가 아닌 자국 국채로 눈을 돌리게 만드는 요소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미 국채를 많이 사들였던 중국 역시 위안화 환율 방어를 위해 미 국채를 팔아 달러를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미 연방 정부 재정적자가 1조7000억달러에 달하는 만큼 국채 공급 규모는 여전히 큰 수준이다. 미 재무부는 30일 국채 발행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올 4분기에 7760억달러, 내년 1분기 8160억달러어치의 국채 발행에 나서겠다”고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4분기 발행 규모가 3분기보다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기록적인 규모”라며 “지난 8월에도 재무부 발표 직후 장기금리가 급등했다”고 경계했다. 시장은 10년물 국채의 구체적인 규모를 확인하겠다며 1일 재무부의 추가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국채 수급 문제에는 Fed도 끼어 있다. Fed는 지난해 6월부터 양적 긴축(QT‧Quantitative tightness)에 나서 국채 보유량을 매달 950억달러씩 축소하고 있다. 이는 시장에서의 국채 공급을 늘려 국채 금리를 상승(가격은 하락)시키는 요소다. Fed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당시 금융기관 등이 보유한 장기 국채를 매달 수백억 달러 규모로 사들여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했다면, 지금은 반대로 국채를 내놓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최근 국채금리 급등세가 지속하자 시장에선 Fed가 양적 긴축을 조기에 완화하지 않겠느냐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채권시장의 악순환 리스크가 Fed의 양적 긴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며 “장기 금리 급등세가 경기를 위협해 Fed가 정책 재고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썼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