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쉬는 의사 필요한 곳 매칭...필수의료에 '의사인력뱅크'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난 1월 경남 산청군 보건의료원의 모습. 이 병원이 지난해부터 높은 연봉을 제시했음에도 내과 전문의를 구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지역 공공병원 인력 부족 문제가 주목 받았다. 사진 산청군

지난 1월 경남 산청군 보건의료원의 모습. 이 병원이 지난해부터 높은 연봉을 제시했음에도 내과 전문의를 구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지역 공공병원 인력 부족 문제가 주목 받았다. 사진 산청군

잠시 일을 쉬고 있는 의사나 현업에서 은퇴한 시니어 의사들로 '의사인력뱅크'를 구성해 현장에서 부족한 의료 인력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가 공공병원의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한 일종의 ‘의사인력뱅크(인력뱅크)’ 운영을 고려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인력뱅크는 지난 19일 정부가 발표한 필수 의료 혁신 전략 중 하나인데, 거점 의료 기관인 국립대 병원에 설치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일·가정 양립 등의 이유로 잠시 쉬는 의사 중에 파트타임으로 진료하려는 수요도 있고, 일을 쉬는 시니어 의사들도 있다"면서 "현재는 정확한 현황을 모두 알기 어렵기 때문에 의료인 네트워크를 만들어 필요한 분야로 안내해드리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인력뱅크가 설치되는 국립대병원에서는 파트타임으로 일할 의향이 있는 의사, 은퇴 의사, 개원의 중 공공병원 협진이 가능한 의사 등을 인력뱅크에 등록한다. 이들을 필요로 하는 공공병원 등 의료기관이 생기면 연계해줄 계획이다. 예를 들어 육아 휴직으로 일을 쉬는 의사가 인력뱅크에 등록한 뒤, 갑자기 의사 인력이 추가로 필요해진 병원에 가능한 시간 만큼 파트타임으로 일할 수 있단 것이다.

대한의사협회는 복지부의 계획에 대해 유보적 입장이다. 의협은 “쉬고 있는 인력을 파악 못하고 있는 것보다는 알고 있는 게 더 낫긴 하다”면서도 “인력에 모든 초점을 맞춰선 안된다”고 우려했다.

김이연 의협 홍보이사는 “현재는 예를 들어 어느 병원에 뇌출혈 환자 왔는데 수술할 의사가 없으면 신경외과 선생님들끼리 카카오톡 단톡방 같은 데 긴급 구호 치는 식으로 알아서 돌아가고 있었다. 이걸 정부에서 참조해서 의료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겠다는 건데 사실 개별 인력들이 어디 있고 몇 명 있느냐가 중요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수술방은 어디가 사용 가능한지, 어시스트할 의사나 간호사들 숫자는 가능한지, 수술 이후 수혈 가능 여부 등 포괄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필수의료 치료은행 개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의료 현장과 논의하면서 인력뱅크 모델링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모델링 과정에서 계속 살펴볼 계획이다. 의사 단체들과 논의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