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5~79세 경제활동인구 1000만명 육박…"저출산 해법 될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3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뉴스1

1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3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뉴스1

55~79세 고령층의 경제활동인구가 1000만명에 다가서고 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었다. 노인 10명 중 6명은 일하거나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고령층의 상당수는 여전히 단순 일자리에서 근무하고 있다. 고학력·고숙련 고령층이 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 경제활동인구는 2013년 587만2000명에서 올해 932만1000명으로 증가했다. 이런 추세면 내년에는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1차 베이비붐(1955~1963년 출생) 세대가 고령 인구로 편입되기 시작한 영향이 컸다.

올해 55~79세 경제활동참가율은 60.2%다. 2005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다. 기대수명이 증가해 신체 건강한 노인이 늘어난 가운데, 생계비 등 경제적 부담도 커진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하지만 노인 일자리는 여전히 저숙련 단순 노동에 치중돼 있다. 고령층의 직업별 취업자 분포를 보면 단순노무종사자(23.2%)와 서비스종사자(13.9%)가 많다. 정부 재정이 투입된 공공부문 일자리 사업이나 단순 노동에 종사하는 고령층이 많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고학력·고숙련 고령층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발표한 ‘고령자 노동시장 현황 및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64.6%였던 ‘중졸 이하’가 2021년엔 42.7%로 줄었다. 반대로 고졸(25.1%→37.6%)과 대졸(8.6%→17.2%) 비율은 늘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은퇴 전 고숙련 일자리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고령층의 비율도 증가했다. 같은 기간 고령층의 ‘생애 가장 긴 일자리’ 특성을 보면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6.3%→1.8%)’나 ‘판매 종사자(13.9%→10.6%)’는 줄었고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6.2%→9.3%)’, ‘관리자(4.7%→7.2%)’ 비중은 늘었다. 연구를 진행한 안준기 한국고용정보원 박사는 “고령층의 인적자본 수준이 과거보다 높게 형성됐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근로를 희망하는 여성 고령층도 늘고 있다. 통계청의 고령층(55~79세)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미래에도 일하고 싶다는 여성 비율 증가(47.8%→60.3%) 폭이 남성(74%→77.3%)보다 가팔랐다. 김영선 경희대 디지털뉴에이징연구소 소장은 “현재 노동시장에 쏟아지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의 여성 고령층은 학력이나 소득, 경제사회적 지위가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졌다. 일종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진 세대”라고 설명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전문가들은 인구 감소로 위기가 닥친 노동시장에 이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김 소장은 “출산율을 올리는 건 시간이 매우 걸리는 문제다. 그 사이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문제 해결을 위해선 고령층 인력을 적극 활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안준기 박사는 고령층의 특성과 수요를 살린 새로운 일자리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 예로 ▶고학력 인적자본 활용을 위한 신중년 일자리 모형 개발 ▶고령 여성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확대 ▶유연한 근무 환경 등을 꼽았다. 안 박사는 “과거엔 일에 대한 보상이나 고용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요즘엔 건강 관리·시간 활용 등을 이유로 유연한 근무환경을 원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전문 역량을 살릴 수 있는 시간제 일자리가 많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