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찬성 73.4%’...파업 초읽기 들어간 서울 지하철 노조

중앙일보

입력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공사) 노조 총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16일 서울교통공사와 노조 등에 따르면 공사 노조 연합교섭단은 지난 12일부터 조합원 대상 총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체 조합원 1만4049명 중 1만1386명이 참여해 73.4%(8356표)가 파업에 찬성했다. 연합교섭단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한국노총 공공연맹으로 구성됐고, 투표엔 양대 노조와 제3 노조인 ‘올바른노동조합’이 참여했다.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지하철 승강장에 열차가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지하철 승강장에 열차가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파업 찬성으로 가결됨에 따라 오는 17일 예상되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최종 조정회의에서 양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해 조정 절차가 종료되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다. 노조는 최종 조정이 결렬되면 오는 18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투쟁 관련 계획을 밝힐 계획이다.

인력 감축안에 노조 vs 공사 견해차

노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연합교섭단을 구성해 지난 7월부터 공사 측과 임금·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진행했다. 7월 11일 제1차 본교섭을 시작으로 이달 초까지 10차례 교섭(본교섭 3회‧실무교섭 7회)이 진행됐다.

그러나 노조와 공사 양측은 인력 감축 문제를 두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공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 인력 감축은 불가피하다고 한다. 공사는 2026년까지 공사 전체 정원(1만6367명)의 약 13.5%에 달하는 2211명 감축안을 제시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 지하철 누적 적자 규모는 17조6808억원이다.

이에 노조는 반발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인력 감축 방식으로는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고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9월 14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에서 역무원이 스토킹 범죄로 목숨을 잃은 ‘신당역 살인 사건’이나 공공장소에서 안전 위협 상황 등에 비춰보면 인력 감축이 해결책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지난해에도 공사는 경영난 개선 차원에서 직원 1500여명을 줄이겠다고 했으나 강제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노조 파업 돌입 하루 만에 극적 합의했다. 그러나 올해 다시 인력 감축이 안건으로 올라왔고, 지난달 6일 교섭은 결렬됐다.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지하철 승강장에서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지하철 승강장에서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필수 유지 인력 확보’ 협정은 체결

노조는 공사가 일방적으로 인력 감축을 강행하지 않는다면 파업을 강행할 이유가 없다고 한다. 공사 관계자는 “투표 결과는 나왔지만, 파업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공사로선 노조와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가 파업해도 서울 지하철 운행이 전면 중단되는 것은 아니다. 공사는 시민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지난달 25일 연합교섭단과 실무 협정을 맺었다. 파업하더라도 지하철 운행에 필요한 최소 인력은 유지하자는 내용이다. 아울러 비상 수송대책을 시행해 지하철 이용에 차질이 없도록 대응하겠단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