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산후조리원 2주에 400만원…“내년엔 100만원 더 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내년 초 셋째 출산을 앞둔 김모씨(40)는 최근 산후조리원을 알아보다가 늘어난 비용 부담에 깜짝 놀랐다. 서울의 한 준프리미엄급 산후조리원도 사실상 필수나 마찬가지인 산후 마사지 서비스 등을 포함하면 2주 기준 비용이 400만원을 훌쩍 넘어서다. 서울 강남의 한 업체는 내년부터 방 등급별로 50만~100만원을 인상한다고 예고했다. 김씨는 “내년부터 정부의 출산 지원금 등이 늘어난다지만 출산비용 인플레이션 때문에 그 효과가 반감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저출산 여파로 산후조리원이 줄어 산모의 선택 폭은 좁아지는 반면 비용 부담은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475곳으로 2017년(598곳)에 비해 20.5% 감소했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는 6곳이 더 줄었다. 한편 산후조리원 전국 평균 이용요금(2주 일반실 이용 기준)은 2017년 241만원에서 2022년 307만원으로 27.4%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2017년 317만원에서 지난해 410만원으로 100만원 가까이 올랐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의 일반실 기준 2주 평균 이용요금은 약 170만원이지만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올해 6월 기준으로 서울 송파구 1곳 등 전국 18곳(전체 469곳의 3.8%)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인천의 한 산후조리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가격을 동결해왔지만, 그 사이 인건비 등은 계속 올랐다”고 말했다. 하지만 출생아가 줄어들면서 고객 1명당 수익성을 높이려는 경향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의 산후조리비용 지원이 의도와 달리 산후조리원 요금 인상을 부추긴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시는 지난 9월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아이 1명당 100만원의 산후조리 바우처를 지급하고 있다. 조리원 이용을 원하지 않는 가정을 배려해 조리원을 제외한 산후건강관리에 쓸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조리원에서 마사지 사업을 따로 등록해 운영하고 있다면 마사지 비용은 바우처로 결제 가능하다. 현금 지급이 낫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자연분만보다 제왕절개분만을 하는 추세도 비용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2016년부터 제왕절개 수술시 본인 부담비율이 20%에서 5%로 완화됐지만, 여전히 자연분만보다는 비용부담이 크다. 의원급 산부인과의 경우 자연분만은 50만원대, 제왕절개는 100만원 이상으로 통상 2배 넘게 차이가 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