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한가위에 만난 ‘영원한 시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15년 전 대전으로 이사 와서 지금까지 살고 있는 집 침실이 운 좋게도 동향이다. 아침이면 햇살이 쏟아져 들어와 그 어떤 알람 앱보다도 효과가 좋다. 산비탈 낮은 건물 사이에 위치한 아파트에서는 저 멀리 떨어진 산도 구경할 수 있다. 저녁 지평선은 맨해튼만큼은 아니지만, 12층짜리 연방정부청사가 최고층 건물이었던 동네에서 자란 나 같은 사람으로서는 이 정도 야경도 충분히 장관이다.

이곳에 처음 왔을 때 ‘피크 파인더’(Peak Finder) 앱을 다운받아, ‘거대하게 돋아난’ 대둔산(大芚山), ‘닭발’을 닮은 계족산(鷄足山), ‘닭볏을 쓴 용’ 모양의 계룡산(鷄龍山), ‘오랜 평화’를 의미하는 장태산(長泰山), ‘식량 저장고’가 있었던 식장산(食藏山) 등등 우리 아파트에서 보이는 산 이름을 찾아보았다.

친구 초대로 가족 성묘에 동참
조상에 대한 겸허한 마음 새겨
도시의 번잡한 이해관계 잊어
미국의 팔순 아버지도 생각나

산비탈 작은 아파트서 누리는 자연

지난달 하순 추석을 앞두고 인천가족공원을 찾아 성묘하는 시민들. [뉴시스]

지난달 하순 추석을 앞두고 인천가족공원을 찾아 성묘하는 시민들. [뉴시스]

아침 해가 뜨는 바로 그 산봉우리에서 밤에는 달이 둥실 떠오른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타임랩스 기능으로 달이 뜨는 과정을 촬영하기를 좋아해, 보름이 되면 베란다에 달아둔 화분들을 떼어 내고 타임랩스를 실행한 채 가야금 연습을 하곤 한다.

그런데 옆 동네가 ‘재건축 지구’로 선정되었다. 오래된 시장이 철거되고 이탈리아풍 브랜드가 달린 고층 아파트 단지가 들어온다고 한다. 드디어 교통수단이 새로 생긴다고 하니 좋은 점도 있지만, 애석하게도 머지않아 발그레한 햇살을 받으며 일어나거나 보름달이 뜨는 과정을 촬영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우리 집 뒤편 산에는 약 400만㎡(120만여 평) 규모의 월평(月坪, 문자적 의미로는 ‘달의 들판’)공원이 있다. 반달 모양의 이 도시공원은 협곡과 유등천 사이에 위치하는데 소나무·참나무·도롱뇽·물고기·늦반딧불이 서식지로 유명하다. 아침이면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며 산림욕 하는 습관이 있다. 나무에 등 치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 산꼭대기에서 자신의 불운을 목청껏 한탄하는 사람들, 라디오로 트로트를 듣는 어르신들과 마주칠 때도 가끔 있지만, 보통은 숲의 소리만이 가득하다. 낮은 골짜기로 조르르 흐르는 물소리, 새소리, 이맘때면 잦아든 매미 소리를 대신하는 귀뚜라미 소리. 습하고 무더운 여름이 막 지난 요즈음에는 사방에 버섯이 돋아나 있다.

내가 이사 오기 수년 전에 불이 난 숲길이 있는데, 처음 이 동네에 왔을 때부터 이 산책로를 유독 좋아했다. 초목이 낮게 자란 그 길에서는 주위의 개천과 계곡, 산, 아파트 단지로 이루어진 멋진 풍경을 볼 수 있었다. 다니는 사람이 많지 않아 마치 야생의 산길을 걷는 것만 같다. 이 길로 다닐 때면 으레 떨어진 나뭇가지를 주워 거미줄을 걷으면서 다닌다.

공원 산책로는 코로나19 확산기에 임시 폐쇄되었다가 올해 초에 다시 열렸다. 함께 산책할 친구가 생겨, 지금은 1주일에 몇 번씩 아침 산책에 나선다. 산책로에 처음 돌아와 보니 내가 좋아하던 그 길이 ‘출입금지’ 표시로 막히고, 좁다랗던 산책로는 넓어지고, 길옆 무덤 수십 기를 들어낸 트럭과 중장비들의 바퀴 자국이 가득한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소나무 사이에 걸린 큼지막한 현수막에는 추석 전까지 묘를 이장하라는 경고문이 적혀 있었다.

2026년이면 지난 15년간 거닐었던 산책로에 새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수천 명 입주민을 위한 판자길이 조성될 것이다. 연휴 전에 마지막으로 산책로를 걸으며 나는 이장되지 못한 묘들은 어떻게 될지 궁금해졌다. 그들의 넋이 새 아파트 주민들을 괴롭히지는 않을까.

렘브란트 그림 보는 듯한 성묫길

그즈음, 친구의 초대를 받아 추석의 가장 중요한 가족 행사(조상의 묘를 찾아가는 성묘 및 벌초, 차례)에 처음 참여했다. 벚나무 가지가 드리워진 구불구불한 도로를 한참 따라갔다. 봄이면 어떤 절경이 펼쳐질지 상상해 보았다. 친구네 집안에서는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가파른 산비탈에 모신 어느 조상님의 묫자리 아래에 5대 조상의 묘를 함께 이장했다고 한다. 제사용품을 들고 오르는 성묫길은 험했으나 그 목가적인 풍경은 마치 렘브란트의 그림을 옮겨온 듯했다.

추석에 가족묘를 돌보는 풍습은 현대판 유교 의식이기도 하지만, 진심으로 성묘에 임하면 그간 조그만 스크린과 아파트에 갇혀 있던 존재에서 벗어나는 시간이기도 하다. 몸을 굽혀 절하고, 제사 음식과 술을 드리는 행위는 사소한 행동일 수 있지만 겸허한 마음을 갖는 시간도 될 수 있다. 친구네 가족이 조상들을 기리는 자리에 함께한 내 마음은 감사함으로 가득했다. 태평양 너머, 지난주에 팔순을 맞으신 우리 아버지 생각이 났다. 나는 산자락에 서서 한데 모인 넋들과 자연에 둘러싸여, 추석이 깨닫게 하는 시간의 초월성과 조상들의 영원한 지혜를 생각하며 큰 위안을 얻었다.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