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알래스카 멘덴홀 빙하, 언제까지 갈까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이달 초 학기가 끝나자마자 아버지의 팔순과 여동생의 50세 생일을 축하하러 고향 알래스카로 돌아갔다. 생일 당일에 맞춰 갈 수가 없었기에 미국의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알래스카 원주민과의 화해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봄이다! 한동안 길거리와 카카오 내비에까지 연분홍빛 벚꽃잎이 흩날렸다가, 이제 도로 가장자리마다, 학교 캠퍼스 로터리 중앙에 진분홍과 붉은빛을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소리가 없기에 소리를 포용하는…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지난 겨울 방학에 콘퍼런스 참석하기 위해 알래스카주에서 플로리다주로 날아갔다. 콘퍼런스가 끝난 후 플로리다주와 가까운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
-
"표절의 신세계 열렸다"…학생 '커닝도우미'로 뜬 챗GPT 논란
“챗GPT가 답변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과제와 퀴즈를 내는 것이 교수의 몫 아닌가요.” 최근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이용해 과제와 시험을 해결했다는 어느 미국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인공지능 시대, 전통은 살아 남는다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팬데믹 3년 만에 친구들과 가족들, 옆 나라 중국처럼 내게도 결국 올 것이 왔다. 가족과 성탄절을 보내기 위해 알래스카 고향으로 갈 비행기 표를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몽골 밤하늘은 커다란 음악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올 더위가 정점을 찍을 무렵 동료 음악가들과 함께 몽골로 피서를 갔다. 도시의 빛 공해 없는 새까만 밤하늘을 올려다보았다. 알래스카에서 자란 나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물을 다스리는 지도자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가을이 되자 황하에 모든 강물이 흘러들어 물이 불어나니 물살이 몹시 심해 건너편의 소와 말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였다. 이때 황하의 신 하백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의 위안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단가(短歌)에서, 주인공이 세상의 부조리에 맞닥뜨릴 때 화자는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라는 구절로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국악을 가르치지 않겠다고?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1990년대 중국에서 유학할 때 둔황석굴을 보러 간쑤성(甘肅省)에 여행간 적이 있다. 당시 둔황석굴은 일반인에게 전면 개방되지 않았기에 관광 가
-
[조세린클라크의 문화산책] 줄 빠진 기타, 비 맞은 해금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대전에서 운전하던 중에, 길가에 내놓은 생활 쓰레기 더미 속에 버려진 기타 한 대가 눈에 띄었다. 자취생이나 한국 단기 체류자는 생활 집기를 따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알래스카 눈 치우기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팬데믹으로 고국을 방문하지 못한 채 한국에서 내리 2년을 보내고, 최근에야 고향 알래스카에 왔다. 높다란 얼음 산맥 사이를, 또 델타 변이와 오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VR 기술이 빚어낼 국악의 신세계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중국 우한에서 바이러스가 발생했다는 소문이 퍼지기 전인 2019년 겨울, 나는 처음으로 VR(가상현실) 오큘러스 고글을 사용해봤다. ‘비트세이버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스승의 에너지 위를 걷는 제자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몇 주 전, 캄보디아 출신 작곡가이자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대 음악교수인 친구 치나리 웅이 영상 한 편을 보내주었다. 인도의 현자 삿구루가 사제관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황진이가 현대에 태어났다면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한국을 처음 방문한 1992년 인간문화재 박귀희 명인과 그의 제자 안숙선·강정숙(두사람 다 인간문화재)의 ‘가야금 병창’을 관람했다. 영화 ‘서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희생자들을 기억하는 ‘클럽하우스’의 낭독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서울에 사는 친구가 소셜미디어 앱 ‘클럽하우스’의 초대권을 보내줬다. 라디오 다이얼을 돌려 주파수를 맞추는 것과 비슷한데, 방 안에서 발언하는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단군신화의 곰·호랑이가 달리 보이는 이유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단가(短歌)를 비롯한 한국의 전통 민요에 자주 등장하는 후렴이다. 특히 민요 속 주인공이 현실의 부조리에 직면한 상황
-
[조세린 클라크의 문화산책] 가야금 공부 30년 만에 귀가 맑아졌다
조세린 클라크 배재대 동양학 교수 끝이 불투명한 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일상적인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긍정적으로 보면 그 덕에 지난 30여년 갈망해온 프로젝트에 집중할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