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탈북·북송·재탈북 청년, 부산외대 정교수 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김성렬

김성렬

“지역에서 통일과 북한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부산외대 국제학부 김성렬(38·사진) 교수가 4일 통화에서 한 말이다. 김 교수는 공모를 거쳐 지난달 부산외대 정교수로 임용됐다. 부산외대에 따르면 탈북민이 국내 대학 정교수가 된 것은 처음이라고 한다. 그는 남북관계론과 국제정치이론 강의를 맡았다.

1985년 함경북도 청진 태생인 김 교수에게 북한 생활에서 기억에 남은 건 굶주림이다. 90년대 들어 청진에선 식량이 제대로 배급되지 않았다. 그의 어머니는 일하던 식품매장에서 팔 물건이 동이 나자 유일한 재산이라 할 수 있는 TV를 팔았다. 이 돈으로 어머니는 북한 내 화교 등이 들여온 중국산 밀가루를 떼다가 장마당에서 되파는 일을 했다. 하지만 화교가 밀가루를 직접 팔면서 이런 ‘중개상’도 힘들어졌다. 김 교수 어머니는 97년 3월 두 아이를 데리고 두만강을 건넜다. 당시 12살이던 김 교수는 “어머니가 나와 누나를 부둥켜안고 얼음장을 깨며 필사적으로 강을 건너던 기억이 생생하다”고 말했다.

중국으로 탈출한 김 교수와 그의 누나는 공장에서 일했다. 3년 뒤 김 교수 가족은 중국 공안에 적발돼 북한 신의주로 북송됐다. 이들은 수용소에서 3개월가량 강제노역했다. 2000년 6·15 정상회담을 계기로 “굶주림에 못 이겨 두만강을 건넌 이들은 용서해주라”는 북한 당국 지시에 따라 석방됐다.

김 교수는 “가까스로 풀려났지만, 살길이 막막했다”고 회상했다. 가족이 살던 집엔 이미 다른 사람이 살고 있었고, 마땅히 신세를 질만 한 친척도 없었다. 김 교수는 다시 두만강을 건너기로 했다. 2000년 8월 북한을 벗어나는 데 성공한 그는 첫 탈북 때 일하던 공장에 자리를 잡았다. 두 달쯤 지나 어머니와 누나도 북한을 탈출해 중국으로 왔다.

김 교수가 한국으로 온 건 2005년이다. 베이징 민박집에서 일하던 어머니가 우연히 알게 된 브로커를 통해서였다. 김 교수는 “한국으로 가서 원하는 공부를 하고 싶다는 마음이 간절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국에서 1년여 만에 초·중·고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2007년 한동대 국제어문학부에 입학했다. 졸업까지 7년이 걸렸다. 김 교수는 “탈북과 북송을 경험하며 국제정치, 외교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했다.

김 교수는 연세대 대학원을 거쳐 미국 정부 장학금인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1기 탈북민 장학생으로 미국 명문 시러큐스대 맥스웰스쿨에서 유학해 박사 학위를 땄다. 그는 “통일되면 북한에 대학교를 세우고, 학문을 통해 북한의 변화를 이끄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