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폴드에 소시지 끼워 조롱한 그녀, 아이폰15엔 "이게 미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월스트리트저널(WSJ)의 테크 칼럼니스트 조안나 스턴이 지난 2019년 갤럭시 폴드에 소시지를 끼워 넣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WSJ=뉴스1

월스트리트저널(WSJ)의 테크 칼럼니스트 조안나 스턴이 지난 2019년 갤럭시 폴드에 소시지를 끼워 넣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WSJ=뉴스1

삼성의 갤럭시 폴드 출시 당시 화면 사이에 소시지를 끼워 넣는 등 조롱으로 논란이 된 월스트리트저널(WSJ) 테크 칼럼니스트 조안나 스턴이 애플의 신작 아이폰 15에 대해선 “큰 성과”라며 찬양해 일부 누리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스턴은 지난 12일(현지시간) WSJ 의 아이폰15 신제품을 소개 영상에 출연해 “때로는 8mm 구멍을 보기 위해서 3000마일을 이동해야 할 수도 있다”며 “애플이 USB-C 포트를 도입한 건 큰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이 영상에서 스턴은 애플이 기존에 사용하던 라이트닝 케이블 더미를 창밖으로 던지며 “자동차와 책상, 침대 옆 탁자에 10년간 쌓인 (라이트닝) 케이블이 있다면 더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 작은 포트(USB-C 포트)는 몇 년간 소비자에 영향을 미칠 가장 큰 아이폰 뉴스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13일 자신의 X(옛 트위터)에도 ‘아이폰에 도입된 USB-C 포트, 미래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글을 남겼다.

그러나 약 30만회 조회된 이 글에 많은 누리꾼은 반발성 답글을 남겼다. “당신이 말하는 미래는 이미 9년 전부터 이 세상에 있었다” “어떤 미래를 말하는 거냐”는 식이다.

앞서 애플은 지난 12일 새로운 아이폰15 시리즈를 발표했지만, 일부 기능을 개선하고 무게를 줄이는 등 변화에 “혁신은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USB-C 포트 도입도 유럽연합(EU)이 2024년부터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전자기기에 USB-C를 의무화하도록 한 데 따른 것이라는 평이다.

스턴은 지난 2019년 삼성의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가 출시됐을 당시 소시지를 집어넣는 영상을 올리며 “뭔가를 접고 싶다면 핫도그나 종이·스카프·의자를 접는 게 낫겠다”고 조롱했다. 2020년엔 갤럭시노트 20에 대해서도 “흘러간 시대에나 훌륭했을 것”이라고 평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