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재택근무 월 1.6일 세계 최하위… 1위 캐나다 6.8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월 1.6일로 세계 34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스탠퍼드대, 멕시코 기술자치대(ITAM), 독일 Ifo 연구소는 지난 4~5월 34개국 직장인 4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한국 직장인의 월평균 재택근무 일수는 1.6일로 집계됐다.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가 월 1.6회로 조사 대상 34개국 중 가장 적었다. 사진 픽셀 자료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가 월 1.6회로 조사 대상 34개국 중 가장 적었다. 사진 픽셀 자료

이는 조사 대상이 된 34개국 중 가장 낮은 수치였다.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은 2일, 대만은 2.8일, 중국은 3.2일로 나왔다. 한국보다는 재택근무를 많이 했지만, 동북 아시아 국가의 수치는 대체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반면 미국과 영국,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재택근무 일수가 많았다.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하는 국가는 6.8일을 기록한 캐나다였다. 영국(6일)과 미국(5.6일), 호주(5.2) 등이 뒤를 이었다.

유럽에서는 독일과 핀란드, 네덜란드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4일로 가장 많았다. 남미에서는 칠레가 월 4일 재택근무를 하고 있었다.

NYT에 따르면 연구진은 국가별 주거 환경에 주목했다. 아시아 국가에서는 작은 아파트에서 여러 명의 가족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사무실에 복귀하는 경우가 늘어났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미국·캐나다·호주 등 교외 등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큰 집을 소유한 직장인들이 많기 때문에 더 나은 재택근무 환경을 갖출 수 있다.

코로나19 봉쇄 기간 역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연구진은 보고 있다. 코로나19 봉쇄 기간이 짧았던 국가일수록 재택근무에 충분한 투자가 이뤄지기 힘들었기 때문에 새로운 근무 형태가 자리 잡지 못했다는 것이다.

직장 문화도 변수로 꼽혔다. NYT는 "한국에서는 많은 직장인이 아예 사무실을 떠나지 않았다"며 그중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를 예로 들고, 모든 직원에게 적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재택근무에 부정적인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