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서울 비 피해 확 줄었다…작년 1만9600건, 올해 72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7월 집중호우가 발생한 서울 서초구 잠수교 일대에서 침수 피해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뉴스1]

지난 7월 집중호우가 발생한 서울 서초구 잠수교 일대에서 침수 피해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뉴스1]

올 여름 서울 시내 수해 피해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피해가 심했던 강남구·관악구 등 한강 이남 자치구는 올해 침수로 인한 주택 피해가 거의 없었다.

서울시 침수 피해 가구 조사 

5일 장태용 서울시의회 의원(국민의힘·강동4)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침수 피해 가구 수와 반지하 주택 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6~8월 서울 시내에서 총 72건의 침수 피해가 신고됐다. 81.9%가 한강 이북 지역서 발생했다. 지난해엔 반대로 서울 수해 피해 가구의 97.2%가 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에 몰려있었다.

서울 주요 자치구별 침수 피해 가구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서울 주요 자치구별 침수 피해 가구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자치구별로 보면 노원구(43건)가 가장 많았다. 노원구는 “시간당 55㎜ 수준의 집중호우가 발생하면서 상계2동·공릉2동 인근에 침수 주택 피해가 발생했다”며 “노면수가 유입했거나 공공하수가 역류한 가구에 재난지원금을 선지급했다”고 설명했다. 침수피해는 성북구가 16건으로 뒤를 이었다. 반지하 주책이 밀집한 성북구 종암동 일대가 침수에 취약했다.

지난해 침수 피해가 심각했던 강남권의 경우 올해 심각한 상황은 피했다. 서초구 11건이 전부다. 강남구·송파구·강동구는 ‘0건’을 기록했다. 3000호 안팎의 주택이 침수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피해가 크게 줄었다. 강남구는 “지난해 집중호우 기간 피해가 컸기 때문에, 올해는 15명의 빗물받이 특별 전담반을 운영했다. 강남역·대치역 등에 상주하며 하수 시설물을 집중 관리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양천구 목동빗물펌프장 내 대심도 빗물터널을 점검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양천구 목동빗물펌프장 내 대심도 빗물터널을 점검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심도(깊은 지하)에 설치한 터널로 빗물이 빠져나간 자치구의 경우 침수 피해가 드물었다. 강서구는 지난해부터 2년 연속 침수 피해 가구 수가 ‘0호’였고, 양천구도 피해가 작았다(2호→0호). 양천구 신월5동부터 목1동 사이 지하에 4.7㎞ 길이로 뚫어둔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덕분이다. 강서구 물관리과 관계자는 “10여년에 걸쳐서 진행했던 하수암거(지하에 매설한 관거·수로) 확관 공사와 하수관로 정비사업도 지난해 모두 끝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만9696건→올해 72건

서울 주요 자치구별 반지하 주택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서울 주요 자치구별 반지하 주택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침수피해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반지하 주택은 서울에만 모두 총 22만2723호가 있다. 그런데도 올해 피해를 줄였다. 반지하 주택은 관악구(1만7800호)에 가장 많았다. 지난해 서울시 재난지원금을 수령한 침수피해 가구 수도 관악구가 4813호로 최다였다. 관악구는 “관내 하수관의 시간당 처리능력이 75㎜인데, 지난해엔 시간당 최고 136㎜의 천재지변급 폭우가 내리면서 침수 피해가 심각했다”고 설명했다.

관악구와 인접한 영등포구(4145호)·동작구(3939호)도 반지하 주택이 많다. 동작구는 “지난해 비 피해가 관내에 집중하면서 시흥대로 하수관로 확관 공사와 남성사계시장-반포천 직접 방류관로 신설 공사의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상인들이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물막이판을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상인들이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물막이판을 설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독특한 건 관악구 다음으로 반지하 주택이 많이 밀집한 강북구(1만5492)·은평구(1만4896)의 경우 침수 피해가 드물었다는 점이다. 2년 연속 침수 신고가 한 건도 없었다. 이에 대해 은평구는 “2018년 관내 집중호우로 심각한 침수 피해가 발생한 이후 응암동처럼 지대가 낮은 지역에 침수·역류 방지 시설을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장태용 시의원은 “서울 시내에 20만호 이상의 반지하 주택이 매년 장마철 침수 위험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고 있다”며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물막이판· 내부에서 열 수 있는 방범창을 설치하고, 지상층 이주 대책 등 촘촘한 예방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