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네스코 인류문화유산’ 전국 1만 해녀 하나로 잇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8면

1만명에 달하는 국내 해녀의 전승·보존을 위해 ‘한반도 해녀포럼(가칭)’ 창설이 추진된다. 사진은 제주해녀들이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의 해녀길을 통해 물질에 나서는 모습. 최충일 기자

1만명에 달하는 국내 해녀의 전승·보존을 위해 ‘한반도 해녀포럼(가칭)’ 창설이 추진된다. 사진은 제주해녀들이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의 해녀길을 통해 물질에 나서는 모습. 최충일 기자

전국으로 흩어진 국내 해녀의 역량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한반도 해녀포럼(가칭)’ 창설이 추진된다. 제주 해녀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제주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21일 제주도와 제주도의회에 따르면 해녀 문화 보전을 위한 정책 수립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18일 부산시의회에서 열렸다. 부산은 제주도 외의 지역에서 해녀 문화가 시작된 상징적인 곳이다.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해녀는 육지로 진출한 후 1895년쯤 부산의 목도(현 영도)에서 첫 물질을 했다. 이후 제주해녀는 한반도 전역과 일본 태평양 연안, 중국 다롄(大連)·칭다오(靑島)까지 진출했다.

그간 해녀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은 지자체별로 제각각이어서 통합적인 보전·전승 정책의 필요성이 요구돼 왔다. 해녀 보호·육성을 위해 진료비, 해녀 은퇴수당, 신규 해녀 정착금 등이 지원되는 제주의 사례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제주도와 제주도의회는 내년 하반기까지 전국 해녀들이 참가하는 ‘한반도 해녀포럼’을 발족키로 했다. 앞선 부산 토론회를 시작으로 국민적 공감대를 모으기 위한 전국 순회 토론회도 진행한다.

부산 토론회에서는 제주도의회 박호형 의원이 좌장을 맡아 ‘해녀의 전국적인 네트워크 확대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 독도재단 김수희 교육연구부장이 ‘한반도 해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언’ 주제발표를 했다. 김 교육연구부장은 “한국 해녀 어업의 지속성을 위한 행정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며 “해녀 양성 및 해녀 문화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해녀 복지 강화, 바다자원 관리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정부 정책 발굴을 위한 국회토론회도 이어갈 계획이다. 다음 달엔 해녀축제 사전행사로 전국 해녀를 초청해 국내 해녀활동 지원을 위한 시책 발굴과 독도 출향 해녀 관련 학술대회를 연다. 오는 10월 국회에서 열리는 전국 해녀 네트워크 확대와 법제화 방안 토론회는 내년부터 지역 토론회로 확대한다.

과거 제주해녀는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제주바다가 황폐해지면서 타 지역으로 향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일터를 찾아 떠난 해녀 중 일부는 타향에서 터를 잡았고, 그 2·3세대들이 지역 해녀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전국에서 1만여 명의 해녀가 현업에 종사하고 있다. 제주에선 해녀 3226명이 공기통과 작살총 등을 사용하지 않는 전통 어로방식인 ‘물질’을 하고 있다.

김희현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해녀문화를 보존 및 전승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선 전국 지자체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권역별 순회 후 전국 해녀들이 참가하는 한반도 해녀포럼을 구성해 해녀문화 보전·전승에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제주도를 비롯한 한국 해녀는 세계적인 전통문화로서의 가치를 수차례 인정받았다. 2015년 ‘제주해녀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 1호로 지정된 게 시작이다. 이듬해에는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으며, 2017년엔 국가무형문화제 제132호에 선정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