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불안한 중국경제…7월 소비·생산 전망치 크게 하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중국의 7월 소매판매 및 산업생산 증가율이 시장 기대를 크게 밑돌면서 경기 경착륙 우려가 커졌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과 주요 외신에 따르면 7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블룸버그가 예상한 전망치(4.0%)를 크게 밑돈다. 소매판매 증가율은 4월(18.4%) 이후 계속 내리막이다.

7월 산업생산도 전년 동기 대비 3.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시장 전망치(4.3%)에 못 미친 데다 3~6월에 비해서도 둔화했다. 7월 수출은 9.2% 줄어 수입(6.9%)보다 감소 폭이 컸다. 7월 소비자물가(CPI)는 전년 동기 대비 0.3% 하락했고, 생산자 물가도 4.4% 하락해 디플레이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7월 실업률은 5.3%로 전달(5.2%)보다 약간 높아졌다. 하지만 그간 함께 공개하던 청년실업률(16~24세) 지표를 이달부터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 수치를 비공개할 정도로 청년실업률이 악화했기 때문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6월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21.3%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바 있다.

줄리안 에반스-프리차드 캐피털이코노믹스 경제분석가는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등 부동산 침체 우려가 확산하고 있어 정책적 지원을 서두르지 않으면 중국 경제가 불황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단기 정책금리인 7일물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금리를 1.8%로, 1년물 중기 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5%로 각각 0.1%포인트, 0.1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청년실업률 이달부터 발표 안해…“비공개할 정도로 심각” 분석도

주요 경제지표가 잇따라 악화하자 돈을 풀어 경기를 회복시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오는 20일 발표하는 대출우대금리(LPR)도 내려갈 가능성이 커졌다.

이처럼 중국 경제가 휘청이면서 중국식 투자 주도 성장 모델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중국은 그간 기업의 투자와 아파트·사회간접시설 등의 부동산 개발을 통해 내수·소비를 진작하는 정책을 펼쳐왔는데, 이젠 부동산·부채·고령화 문제 심화로 약발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1~7월(누적) 부동산 개발 투자 증가율은 -8.5%다. 5개월째 내림세다. 여기에 최근 비구이위안의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까지 커졌다. 부동산은 중국 전체 투자액과 정부 세입의 약 25%를 차지한다. 가계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해 부동산 경기 하강은 소비와 투자 감소 등 경제 전반의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

특히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 부채는 158%로 주요 7개국(G7) 평균(98%)보다 훨씬 높다. 앞서 헝다그룹은 중국 정부가 부동산 투자 기업의 부채를 제한하는 과정에서 디폴트를 선언했다. 또 높은 부채 위험이 금융권으로 전이되면 은행 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

정부 재정 여력도 많지 않다. 중국 정부의 부채는 최근 4년간 GDP 대비 21.2%포인트 증가하면서 77.7%까지 늘어났다. 정부 부채로 잡히지 않는 지방정부 부동산 투자기구(LGFV)의 부채 총액은 지난해 기준 60조 위안(약 1경973조원)에 달한다.

또 산아제한 정책으로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장기적인 중국 경제 전망을 어둡게 한다. 미국이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국 성장을 견제하고 있는 점은 걸림돌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은 중국 경기 침체를 대비해 대중 수출 비중을 줄이는 등 리스크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