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봄에도 아기 울음소리 뚝…5월 출생아 처음으로 2만명 아래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5월 출생아 수가 1만8000명대까지 떨어졌다. 5월 기준 출생아 수가 2만명에 못 미친 건 올해가 처음이다. 사망자는 1년 전보다 늘면서 인구 자연 감소세가 이어졌다.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자 정부는 “원점에서 저출산 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2017년만 해도 3만명이었는데

26일 통계청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출생아 수는 1만8988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2만57명)보다 1069명(5.3%) 줄었다. 봄은 출산과 산후조리하기 좋은 계절로 꼽혔는데 4월(1만8484명)에 이어 5월까지 출생아 수가 2만명 이하로 주저앉았다. 월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90개월째 전년 대비 감소세다. 5월 출생아 수는 2018년 처음 2만명대로 내려온 이후 5년 만에 1만명대를 기록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4.4명으로, 5월 기준 가장 낮았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사망자 수는 1년 전보다 50명(0.2%) 늘면서 2만8958명을 기록했다. 5월 기준 역대 가장 많았다. 한국 전체로는 인구 9970명이 자연 감소했다. 인구 자연감소는 2019년 11월부터 4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세종(96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인구가 자연감소했다.

답보하는 혼인 건수, 깜짝 반등이었나

지난 5월 혼인 건수는 1만7212건으로, 1년 전보다 171건(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늘었던 혼인이 ‘깜짝 반등’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로 결혼을 연기했던 이들이 방역 해제 이후 대거 결혼하면서 대기 수요가 거의 해소됐다는 뜻이다. 4월엔 전년 같은 달보다 줄었고, 5월엔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에 그쳐서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5월 혼인이 소폭 증가에 그치긴 했지만, 혼인 대기 수요가 모두 소진된 건지는 몇 달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청년층 인구가 줄면서 국내 인구이동도 감소하고 있다. 올해 2분기 국내 지역 간 인구 이동자 수는 142만6000명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5만7000명(3.8%) 줄었다. 2분기 기준으로 1974년(125만1000명) 이후 4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2분기 서울에서만 1만951명이 빠져나갔다.

정부 “저출산 정책 원점 검토”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저출산 대응정책 의견수렴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저출산 대응정책 의견수렴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정부는 이날 저출산 대응정책 간담회를 열고 “획기적인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하는 등 저출산 대응 정책의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그간의 저출산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간담회엔 전문가 및 청년 인턴이 참석해 발언했다. 위기임산부의 안전한 출산을 지원하고, 기업의 일‧가정 양립 공시를 포함해 정보공개를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