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도권 빼고 몸집 키우기 될까…저축은행 업계, 규제 완화에도 시큰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에 대한 합병 규제를 완화했지만, 업계 반응은 미지근하다. 저축은행의 전반적인 업황이나 비수도권 저축은행의 건전성 등을 고려하면 인수합병(M&A) 수요가 크지 않아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금융규제혁신회의를 열고 ‘저축은행 대주주 변경·합병 인가 기준’ 개정안을 마련했다. 저축은행의 영업 구역을 확대하고, 관련 합병 및 지배구조 관련 규제를 완화한 게 주 내용이다. 저축은행의 경쟁력을 강화해 은행권의 과점체제를 완화하겠다는 취지다. 금융위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자금 중개 기능을 향상하고 경영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정안은 구조조정 목적이거나 비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해 동일 대주주가 영업구역이 확대되더라도 최대 4개의 저축은행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그간은 동일 대주주가 3개 이상의 저축은행을 갖지 못했고, 영업구역이 다른 저축은행의 합병은 원칙적으로 허가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에선 실효성에 의문부호가 달린다. 전반적인 업황이 어려워 M&A 수요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개사는 올해 1분기 52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저축은행 사태’ 당시인 2014년 2분기 이후 첫 적자다. 고금리 여파로 이런 추이는 더 이어질 전망이다.

앞서 금융 당국이 허용키로 한 저축은행의 지방은행 전환도 단시일에 실효성이 있긴 어렵다는 관측이다. 지방은행의 경우 자본금 250억원 이상을 보유해야 하고, 산업자본은 지방은행의 지분을 최대 15% 가질 수 있다. 이미 은행을 가지고 있는 금융그룹 계열이 아닌 대다수 저축은행은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