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겁나게 비싸진 골프장…주말 라운드 최소 60만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해도 해도 너무한 거 아닙니까. 비싼 그린피만 해도 불만인데 캐디피와 카트 사용료까지 크게 올랐어요. 외국에 나가서 골프를 하든지 아니면 아예 골프를 그만둘까 생각 중입니다.”

50대 주말 골퍼 김성훈씨는 격앙된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요즘 등산이나 사이클 등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드는 운동을 알아보고 있다”고 했다.

영업이익 상위 5개 골프장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레저산업연구소]

영업이익 상위 5개 골프장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레저산업연구소]

국내 골프장 이용료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코로나19 기간 급등한 그린피는 내려갈 생각이 없는데 필수 지출 항목인 캐디피와 카트 이용료마저 올라가면서 아마추어 골퍼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골프 인구가 500만 명을 넘어서면서 대중 스포츠로 자리 잡는가 했지만, 다시 대중과 멀어지는 모양새다.

국내 골프장의 경우 코로나19 기간 그린피가 크게 올랐다.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두 배 가까이 비용이 상승했다. 해외여행이 제한되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골프 인구가 늘어난 덕분이다.

문제는 코로나19가 끝났는데도 그린피가 내려가지 않는 것이다. 부킹 전문업체 XGOLF가 최근 내놓은 자료를 보면 그린피의 하락세는 미미한 수준이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이런 가운데 7월 개장 예정인 강원도 홍천의 한 골프장은 그린피를 주중 39만원, 주말 51만원으로 책정했다. 캐디피는 16만원, 카트 사용료는 20만원(4인 기준)이다. 주말의 경우 1인당 최소한 60만~70만원을 내야 라운드가 가능하다. 강원도의 또 다른 골프장도 토요일 오전 그린피는 40만원, 금요일 오후는 30만원을 받는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서천범 소장은 “정부에서 그린피를 잡기 위해 대중제 골프장을 비회원제와 대중형으로 나눴다. 그러면서 대중형에만 개별소비세 면제 혜택을 줬지만, 효과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1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평균 7만3000원이던 팀당 카트 사용료는 올해 7월 9만4700원으로 올랐다. 13년 사이 30% 가까이 뛴 셈이다. 카트 사용료는 보통 한 팀에서 라운드하는 동반자 4명이 나눠 낸다. 2010년에는 4명이 2만원씩 분담하면 됐지만, 지금은 2만원씩 갹출해도 모자란다는 뜻이다.

실제로 팀당 카트 대여료 분포를 보면 카트 사용료가 8만원인 골프장은 2019년 5월 177개소에서 올해 6월엔 41개소로 감소했다. 대신 10만원을 받는 곳은 2019년 29개소에서 올해 212곳으로 늘었다. 카트 사용료가 12만원인 골프장도 2019년 2곳에서 올해 18개소로 증가했다.

‘리무진 카트’라고 불리는 초고가 카트의 등장도 눈총을 받고 있다. 서천범 소장은 “부산의 한 회원제 골프장은 사용료가 36만원인 초고가 카트를 도입했다. 수도권의 한 골프장에서도 리무진 6인승 카트 대여료가 팀당 22만원이나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5인승 전동카트 1대당 구입비는 대략 1300만원이다. 6개월 정도만 돌리면 구입비를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카트 사용료를 절반 정도로 내려도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가파르게 오르는 캐디피도 주말 골퍼들에겐 적잖은 부담이다. 2019년 평균 12만2700원이었던 캐디피는 2021년 13만1300원으로 올랐고, 올해 5월에는 14만8800원이 됐다. 골프장마다 차이도 크다. 수도권의 한 회원제 골프장에선 팀당 캐디피를 17만원으로 책정했다.

서천범 소장은 “골프장은 느는데 캐디 공급은 한정돼 있다.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캐디피가 가장 빨리 올라가고 있다”며 “현재 캐디피와 카트 사용료는 무조건적인 의무 사항이다. 비정상적인 가격을 낮추려면 카트와 캐디 유무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추세라면 비용이 많이 드는 골프는 대중에게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