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단벌레 600마리로 만든 말다래…신라 공주 ‘승마패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롱한 초록빛의 비단벌레 날개가 반짝였다. 비단벌레 날개 가장자리에는 금동 테두리를 달았다. 이렇게 만들어진 비단벌레 장식품 네 점을 모아 십(十)자로 놓고 가운데에 납작한 원형의 금 장식품을 엮으면 그 모양이 마치 반짝이는 꽃잎 같다.

 쪽샘 44호의 주인공은 10세 안팎의 여자아이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의 종류와 수량을 고려했을 때 신라공주의 무덤으로 보인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쪽샘 44호의 주인공은 10세 안팎의 여자아이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의 종류와 수량을 고려했을 때 신라공주의 무덤으로 보인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황오동 쪽샘 유적 지구의 44호 무덤에서 발굴된 대나무 말다래(말을 탄 사람에게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판자)의 모습이다. 4일 공개된 이 유물에는 비단벌레 600마리의 날개를 뜯어 만든 꽃 100송이가 장식돼 있었다.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한 말다래가 국내에서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쪽샘 44호분에서 나온 말다래 출토품. 왼쪽이 재현품이고 오른쪽이 실제 유물이다. 초록색빛깔의 물방울 무늬 장식품은 비단벌레의 날개에 황동으로 테두리를 입힌 것이다. 홍지유 기자

쪽샘 44호분에서 나온 말다래 출토품. 왼쪽이 재현품이고 오른쪽이 실제 유물이다. 초록색빛깔의 물방울 무늬 장식품은 비단벌레의 날개에 황동으로 테두리를 입힌 것이다. 홍지유 기자

비단벌레와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말다래 장식품. 장식품은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됐다. 비단벌레의 딱지날개 2매를 겹쳐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테두리에 금동판을 두른 장식품이다. 말다래를 장식하는 용도로 쓰였다. 진품 유물은 날개 색깔이 변해서 나뭇잎처럼 보인다. 밝은 녹색을 띄는 것은 재현품이다. 비단벌레 날개는 광채가 나고 화려해서 신라시대 장신구로 쓰였다.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국립생태원

비단벌레와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말다래 장식품. 장식품은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됐다. 비단벌레의 딱지날개 2매를 겹쳐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테두리에 금동판을 두른 장식품이다. 말다래를 장식하는 용도로 쓰였다. 진품 유물은 날개 색깔이 변해서 나뭇잎처럼 보인다. 밝은 녹색을 띄는 것은 재현품이다. 비단벌레 날개는 광채가 나고 화려해서 신라시대 장신구로 쓰였다.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국립생태원

쪽샘44호에서 출토된 말다래의 재현품.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쪽샘44호에서 출토된 말다래의 재현품.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말다래 일러스트.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말다래 일러스트.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지구는 4~6세기에 조성된 신라 왕족·귀족의 집단 묘역이다. 최근 발굴 조사가 끝난 44호 무덤은 지름 약 30m의 중형급 봉분이다. 금동관과 금동 신발 등 호화 유물이 다량 출토돼 2014년 시작된 발굴 작업을 마무리하는 데 10년이 걸렸다.

44호 무덤의 주인은 1500년 전에 살았던 신라 왕족 여성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금동관과 금동 신발의 크기, 허리띠의 위치 등을 고려했을 때 키 130cm 내외, 나이 10세 전후의 어린 신라 공주였을 것이라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쪽샘 44호에서 발견된 말다래 장식에 사용된 비단벌레 장식품.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쪽샘 44호에서 발견된 말다래 장식에 사용된 비단벌레 장식품.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44호 무덤은 발굴 초기부터 화려한 유물이 대거 출토돼 많은 주목을 받았다. 최종적으로 집계된 출토 유물 수는 780점. 청동 항아리, 솥, 주전자 등과 금귀걸이, 금동관, 금동 신발, 금·은팔찌, 은 허리띠, 금·은구슬을 엮은 가슴걸이, 금드리개 등 온갖 장신구가 모습을 드러냈다.

그중에서도 초록빛의 비단벌레 날개와 금 드리개 수백 점을 이어 붙인 가로 60cm, 세로 45cm 크기의 말다래가 압권이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이날 경주 사정동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비단벌레 날개를 이용한 유물은 황남대총, 금관총 등 신라 고분 중에서도 최고 등급의 무덤에서만 확인되고 있다"며 "지금까지 천마총·금령총·금관총에서 나온 말다래는 모두 천마도를 그려 넣은 것으로,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한 말다래가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쪽샘44호에서 출토된 금동 신발.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쪽샘44호에서 출토된 금동 신발.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만듦새도 범상치 않다. 비단벌레 날개에 황동 테두리를 붙일 때는 못이 아니라 실을 썼다. 심현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특별연구원은 "간단히 못으로 고정할 수도 있었을텐데 실로 비단벌레 날개와 황동 테두리를 하나하나 엮어 더 정교하게 만들었다"며 "재현품을 만들 때 여러 명이 동시에 작업을 해서 꼬박 두 달이 걸렸을 만큼 만듦새가 정교하고 가치가 높은 유물"이라고 설명했다.

쪽샘44호에서는 3가지 색의 실을 사용한 직물인 삼색경금(三色經錦)도 확인됐다. 왼쪽에서 세번째가 삼색경금의 재현품이다. 홍지유 기자

쪽샘44호에서는 3가지 색의 실을 사용한 직물인 삼색경금(三色經錦)도 확인됐다. 왼쪽에서 세번째가 삼색경금의 재현품이다. 홍지유 기자

무덤 내 금동관 내부에서는 마직물·견직물 등이 발견됐다. 특히 붉은색, 보라색, 노란색 3가지 실을 엮어 격자무늬를 만든 최고급 직물 ‘삼색경금(三色經錦)’도 확인됐다. 정인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삼색경금이 문헌이 아닌 실물 자료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분석을 통해 붉은색은 꼭두서니, 보라색은 자초를 이용해 염색한 것까지 확인됐다"고 말했다. 삼국시대 염색 직물의 안료가 밝혀진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삼색경금은 공주의 머리띠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심 연구원은 "출토된 위치와 크기 등을 고려했을 때 머리띠처럼 삼색경금을 이마에 두른 뒤 그 위에 관을 썼을 것으로 보인다"며 "차가운 금동관이 이마에 바로 닿지 않도록 하는 용도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쪽샘44호에서 출토된 머리카락.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쪽샘44호에서 출토된 머리카락.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무덤 주인의 머리카락도 추가로 확인됐다. 정 학예연구사는 "유물 발굴에서 머리카락이 나온 사례가 거의 없었다"며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인간의 모발로 판명됐고 직물이 모발 위에 덮여 있던 형태와 모발을 땋았던 흔적까지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모발은 매장 후 30년이 지나면 땅속에서 분해되지만 산소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부식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것이 발굴단의 설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