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은 “국내 코인시장 규모 19조, 금융안정 리스크 대비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상승세를 이어가던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2만7000달러 아래로 떨어진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빗썸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올해 상승세를 이어가던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2만7000달러 아래로 떨어진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빗썸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한국은행이 암호자산 규모가 커져 금융안정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기존 금융산업과 같은 행위에 대해선 같은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암호화폐 발행사나 플랫폼사업자가 고객이 맡긴 암호화폐에 이자를 주거나 대출을 해주는 등 은행과 유사한 행위를 한다면 은행법에 준하는 규제를 적용하는 식의 적절한 관리ㆍ감독 체계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은은 18일 ‘글로벌 주요 사건을 통해 살펴본 암호자산시장의 취약성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암호자산 부문과 전통 금융시스템 간 연계성이 높아지고 있어, 발생 가능한 파급위험에 대비해 포괄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입법 과정에서 ‘동일행위, 동일위험, 동일규제’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지난해 발생한 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법정화폐 가치에 연동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 테라USDㆍ루나코인 급락, 암호자산거래소 FTX 파산 등을 언급하면서 “글로벌 암호자산시장에서 발생한 부정적 사건의 원인은 지속 불가능한 사업구조, 유동성 리스크, 레버리지, 불투명한 재무상황 등 과거 금융시장에서 발생했던 리스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는 암호자산시장에 전통적 금융시장에 적용되는 수준의 규제가 적용됐다면 리스크가 촉발되지 않았거나 촉발되더라도 그 피해가 크지 않았을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예를 들어 테라ㆍ루나 발행사인 테라폼랩스는 탈중앙화금융(DeFi) 프로토콜인 ‘앵커’를 통해 마치 예금처럼 테라를 예치할 경우 연 20% 수준의 이자를 지급했다. 하지만 테라에 대한 대출 수요는 적은데 높은 예금이자를 감당하려다 보니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테라ㆍ루나의 사업구조가 암호자산 상승에 대한 과도한 낙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투매(코인런)가 이어졌고, 지난해 5월 테라ㆍ루나 가격은 99% 폭락했다. FTX는 자체 발행 코인인 FTT를 FTX의 핵심 암호자산으로 지원하고, 계열사 알라메다를 동원해 가격을 조작하는 등 불투명한 내부거래와 고객예탁금 전용 등으로 신뢰가 떨어지면서 파산했다.

한은은 국내에선 신규 코인 발행과 상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FTX 파산과 같은 위험성은 크지 않다고 봤다. 다만 증권거래소와 달리 암호자산거래소에는 중개ㆍ상장ㆍ결제ㆍ예탁 등 모든 기능이 집중돼 있어 불공정 거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암호자산거래소는 업비트ㆍ빗썸ㆍ코인원 처럼 원화로 코인을 매매할 수 있는 원화거래소(5개)와 코인 간 교환만 지원하는 코인거래소 22개 등 27개다. 이를 통해 거래되는 암호자산 규모는 약 19조원에 달한다. 비트코인 거래의 통화별 비중으로 추정한 국내 거래소의 글로벌 점유율은 약 6.8%로 미 달러화 다음으로 높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