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北 핵실험장 인근 지하수 오염돼...탈북민 피폭검사 중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지난해 5월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 방식으로 폐기하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해 5월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 방식으로 폐기하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의 잔류 방사능이 지하수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의소리(VOA)는 17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차장을 지낸 올리 하이노넨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이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 누적된 방사능이 상당할 것이라 우려했다고 전했다.

하이노넨 특별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풍계리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에 대한 피폭 조사를 시작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이 지난 10년 동안 풍계리 핵실험장 한 곳에서만 6번의 핵실험을 했기 때문에 방사능이 계속 누적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핵실험 시 방사성 물질인 플루토늄은 실제 폭발하지는 않지만 갱도 안에 플루토늄보다 독성이 덜한 우라늄이 남게 된다. 특히 북한이 핵종을 숨기기 위해 방사성 물질의 대기 방출을 어느 정도 제한해 온 만큼 잔류 방사능은 지하수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이 크단 게 하이노넨 연구원의 주장이다.

미 핵 과학자인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도 이날 VOA에 “북한의 방사능 유출 경로 등 관련 정보를 거의 알 수 없다는 것은 큰 문제”라며 “검증단을 파견해 지하수와 지표수, 대기 오염 정도를 검사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공개한 자료 역시 믿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북한은 풍계리 인근 지역에서 방사능 노출로 인한 질병이 보고된 적이 한 건도 없었다는 자료를 공개한 바 있다. 올브라이트 소장은 이에 대해 “이를 그대로 믿기 어렵다”며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방사능 노출 관련 국제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이에 따른 사후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매우 의문이다. 사실상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풍계리 인근 방사능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해당 지역에 살았던 탈북민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한국 원자력의학원은 지난 15일부터 탈북민들에 대한 방사선 피폭검사를 시작했다. 해당 검사는 11월 말까지 진행되고 결과는 연말에 발표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