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제문제 적극 대응' 47.7%…3대 개혁은 노동·연금·교육 순 [尹1년 중앙일보 여론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윤 대통령 취임 1년…중앙일보·한국갤럽 여론조사

윤석열 대통령 취임 1년 국민들의 관심은 경제 문제에 집중됐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에서 ‘윤 대통령 취임 이전과 비교한 살림살이의 변화’를 묻는 말에 과반인 54.6%는 ‘비슷하다’고 답했다. 35.2%는 ‘나빠졌다’고 답해 ‘좋아졌다’는 응답(8.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복합 경제 위기 상황에서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경기가 그만큼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지역별로는 대구·경북(TK)에서 ‘좋아졌다’는 답변이 17.3%로 가장 높았고, ‘나빠졌다’는 반응은 호남(46.8%)에서 최고치였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가 느끼는 상황이 가장 열악했다. ‘나빠졌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5.7%나 됐다. 뒤이은 사무·관리 직종(35.8%)보다 9.9%포인트 높은 수치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윤 대통령이 남은 임기 중점을 둬야 할 사항도 경제 분야가 압도적으로 꼽혔다. ‘경제회복/활성화’(32.3%)를 비롯해 ‘민생 문제/생활 안정’(7.3%), ‘부동산 문제 해결’(4.0%), ‘물가 안정’(2.8%), ‘일자리/고용’(1.3%) 등 경제 관련이 절반에 가까운 47.7%에 달했다. 특히 30대(38.2%), 40대(38.4%), 50대(36.2%)에서 ‘경제회복/활성화’에 역점을 둬 달라는 요구가 많았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사회가 공정해졌는지’ 묻는 질문에는 ‘불공정해졌다’는 응답이 39.7%, ‘비슷하다’는 31.9%, ‘공정해졌다’는 24.2%였다. 20대와 30대의 ‘공정해졌다’는 답변은 각각 15.9%와 14.3%에 그쳤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11개월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정부 지원론)고 답한 비율은 39.0%로 나타났다. 반면에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정부 견제론)고 답한 사람은 51.0%였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 중인 연금개혁·노동개혁·교육개혁 등 3대 개혁 과제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노동개혁이 38.1%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연금개혁 30.7%, 교육개혁 21.7%였다. 이준호 에스티아이 대표는 “윤 대통령의 노조 회계 투명성 강조와 ‘건폭’ 척결 등 전임 정부에 비해 노조에 대한 원칙적 입장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송영길 전 대표 등이 연루된 ‘2021년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검찰 수사에 대해선 57.2%가 ‘범죄 혐의에 대한 정당한 수사’라고 응답했다. 반면에 ‘야당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라고 답한 비율은 29.6%에 그쳤다. 민주당이 ‘야당 탄압’ 프레임을 내세워 여론전을 펴고 있지만, 국민 10명 중 6명가량은 검찰 수사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2023년 5월 7~8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1.9%이며 2023년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