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랜선'에서 모르는 사람과 수다떤다…요즘 영화·드라마 보는 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토종 OTT 왓챠가 제공하는 '영화파티' 서비스는 같은 영화를 동시에 감상하며 채팅 등 소통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진은 영화파티 시작 전 대기 화면. 사진 왓챠 캡처

토종 OTT 왓챠가 제공하는 '영화파티' 서비스는 같은 영화를 동시에 감상하며 채팅 등 소통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진은 영화파티 시작 전 대기 화면. 사진 왓챠 캡처

“주인공이 라멘을 먹네요?” 해리슨 포드가 출연한 1982년작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서 주인공이 일본풍 라멘 가게에 들어서는 장면이 나오자 댓글 창에 이런 문장이 올라온다. 곧바로 들려오는 음성이 댓글 작성자의 궁금증을 풀어준다. “82년도 영화인데 왜 이렇게 일본풍인지 궁금한 분도 계실 거예요. 그런데 이 시대는 일본의 대기업들이 미국 시장을 점령하기 시작한 때입니다. 미국인들 사이에 일본에 대한 경계심과 동시에 오리엔탈리즘적 환상이 있던 시대죠.”

토종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왓챠가 서비스 중인 전문가 해설을 곁들인 ‘영화파티’ 서비스가 진행되는 풍경이다. 왓챠가 2021년 처음 선보인 ‘영화파티’에서는 최대 2만 명까지 동시에 같은 콘텐트를 감상하며 채팅으로 소통할 수 있다. 누구나 진행자나 시청자로 참여할 수 있는데, 지난달부터 한 달여 간 황석희 번역가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돌아가면서 진행을 맡아 영화를 실시간 해설하는 이벤트가 열리고 있다.

시청자는 댓글로, 진행자는 음성으로 소통하며 같은 영화를 감상하는, 일종의 ‘라방’(라이브방송)인 셈이다. 김도훈·주성철 영화평론가가 진행한 ‘블레이드 러너’ 파티에는 400여명의 시청자가 방송 초반부터 위와 같은 감상을 주고받았다. 미국이 만든 영화에 왜 일본풍 코드가 빼곡한지 해설을 들은 시청자들은 “그래서 그런 거였군요” “코멘터리 들으면서 영화를 보니 유익하네요” 등의 댓글로 화답했다.

같은 영화를 동시에 감상하며 소통할 수 있는 왓챠 영화파티 서비스. 왓챠는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9일까지 매주 화, 목에는 황석희 번역가, 영화 유튜버 김시선 등의 전문가가 음성 코멘터리를 제공하는 파티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사진 왓챠 캡처

같은 영화를 동시에 감상하며 소통할 수 있는 왓챠 영화파티 서비스. 왓챠는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9일까지 매주 화, 목에는 황석희 번역가, 영화 유튜버 김시선 등의 전문가가 음성 코멘터리를 제공하는 파티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사진 왓챠 캡처

극장 중심이던 영화 관람 문화가 점차 OTT, IPTV(인터넷TV) 등을 활용한 개별적인 시청 쪽으로 옮겨가면서, 대면으로 이뤄지던 GV(관객과의 대화) 등의 전문가 해설 이벤트도 온라인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벌어진다. 영화관처럼 반드시 한 공간에 모여 콘텐트를 봐야 한다는 인식은 흐릿해지는 한편 원격으로라도 함께 수다 떨면서 감상을 공유하는 시청 문화는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네이버의 ‘오픈톡’ 서비스 역시 콘텐트를 보며 실시간으로 떠들고픈 시청자들의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이다. 네이버가 지난해 카타르 월드컵 등 스포츠 이벤트를 중심으로 처음 도입한 오픈톡은 온라인에서 함께 경기를 시청하며 채팅하는 커뮤니티로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연말 방송 3사 연예시상식에 오픈톡이 도입되자 누적 이용자가 60만 명에 이를 정도로 확장 가능성이 확인됐고, 올해 초부터 드라마·게임 등의 분야로도 서비스가 확대됐다. 드라마의 경우, CP(콘텐트제공자)와 협의를 거쳐 공식 오픈톡을 개설한 드라마는 SBS ‘모범택시2’, JTBC ‘닥터 차정숙’ 등 총 22편(4월까지 기준)이다.

네이버 오픈톡은 드라마, 게임, 스포츠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익명의 이용자들과 실시간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사진 네이버

네이버 오픈톡은 드라마, 게임, 스포츠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익명의 이용자들과 실시간 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사진 네이버

JTBC 드라마 '닥터 차정숙'의 네이버 오픈톡 채팅창. 사진 네이버 캡처

JTBC 드라마 '닥터 차정숙'의 네이버 오픈톡 채팅창. 사진 네이버 캡처

오픈톡 창에서는 배우들을 향한 응원과 ‘짤방’ 공유부터 “아까 엔딩에서 나온 노래 제목 뭔가요” 등의 질문이나 방송 내용에 대한 진지한 토론까지, 다양한 종류의 채팅이 오간다. 시청률 21%로 종영한 ‘모범택시2’는 6만 명이 오픈톡을 찾았고, ‘닥터 차정숙’은 3만 3000명이 꾸준히 방문 중이다. 진작에 자리잡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의 ‘달글’(달리는 글, 한 프로그램을 보며 실시간으로 다는 댓글) 문화가 지속되는 것도 시청자들의 소통 욕구를 반영한다.

이처럼 드라마·영화 시청자가 물리적으론 멀어지면서도 온라인에서 더 빨리, 더 가까이 감상을 나누는 이유로, 관심사를 공유하는 불특정 다수와의 소통이 현실의 교류보다 더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다는 점이 꼽힌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는 카페·밴드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통해 성장한 만큼 이용자들이 어떤 방식의 소통을 원하는지 파악하는 나름의 노하우가 있다”며 “오픈톡은 공통된 관심사에 기반한 ‘느슨한 유대’를 선호하는 요즘 트렌드에 발맞춘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좋아하는 콘텐트 이야기를 현실의 지인보다 온라인상 익명의 타인과 나누려는 게 요즘 사람들의 심리라는 것이다.

네이버 오픈톡

네이버 오픈톡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인터넷 세대인 젊은 층은 감정을 곧바로 문자로 옮기는 게 습관화돼있고, 이를 어디에든 표출하고 싶어 한다”며 “그에 대해 불특정 다수가 반응하면 실제에서보다 더 제대로 누군가와 연결됐다는 짜릿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런 재미로 인해 온라인 공간에서 소통이 계속해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양한 형식의 콘텐트 감상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서비스들이 원격 소통을 활성화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왓챠 영화파티에 호스트로 참여한 김도훈 평론가는 “가끔 GV도 진행하고 유튜브도 하고 있지만, GV는 해설자만 떠들어야 하고, 유튜브도 내가 이야기한 다음에 시청자가 보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영화를 보면서 여러분과 (동시에) 떠드니까 생각보다 더 재밌다”는 소회를 파티 중에 밝힌 바 있다. 왓챠 관계자는 “모든 시청자가 같은 구간을 봐야 하고, 진행자가 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파티 기능을 구현하는 데 생각보다 많은 기술이 필요했다”며 “이용자들이 플랫폼 안에서 콘텐트를 보다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기능들을 개발하기 위해 항상 관심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