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ssue&] 디지털 전환 시대, 농업기술 지원 서비스의 혁신이 필요한 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기고 권철희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농업기술의 변화와 혁신의 속도는 다른 산업에 비하면 느리게 보여도, 정체하지 않고 꾸준히 진일보하고 있다. 1970년대에는 쌀 자급을 이룬 ‘녹색혁명’, 1980년대에는 사계절 신선한 채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백색혁명’을 이뤄 보릿고개를 없애고 농한기에도 농가소득이 발생했다. 1990년대는 높아진 국민 생활 수준에 맞춰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주력했고, 2000년대는 딸기, 화훼, 씨닭 등을 국산 품종으로 대체하며 품종 독립을 가속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정보통신기술, 로봇 등 기술을 농업에 적용하여 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농업의 디지털화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마중물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팜 시스템을 이용한 생육 환경의 과학적 제어, 빅데이터 분석으로 농작물 생산에 필요한 환경정보 수집,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농작물 관리와 수확, 드론을 이용한 방제 및 농작물 재배면적 산정과 생산량 예측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현재 영농현장에서 정착되고 있는 드론을 이용한 방제 서비스의 경우, 수요가 급증하면서 2020년 130억원으로 집계된 드론 방제 서비스 시장이 2025년에는 약 43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2021년부터 도입된 자율주행 농기계도 2030년 2000억원 규모로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농업의 스마트, 디지털화는 현재 우리 농업이 직면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미래농업을 여는 열쇠가 될 것이다. 영농현장에서 디지털 전환이 안착하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개발의 지속적 추진이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운 농업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영농현장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수집과 정제·가공, 활용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도 필수적이다. 더불어 시대에 맞는 수요자 맞춤형 영농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농업인의 스마트·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서비스도 필요하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농업과학기술정보서비스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농업과학기술정보의 수집·관리 및 제공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운영하여 농촌진흥기관이 제공하는 과학영농 기술의 온·오프라인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농촌지도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다. 또한 농업기술 보급 전달체계를 효율화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시범 가동 중인 온라인 플랫폼 ‘농업과학기술정보서비스(ASTIS)’는 고객의 농업기술 민원 해결에 편익을 증대할 뿐 아니라, 전국 농촌진흥기관이 보유한 영농정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구심점이 되어 데이터 기반의 기술지원 서비스를 한층 강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현재 각 지역의 스마트팜 농가에서 생산된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을 위한 지역 거점 관제센터 구축, 농업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디지털농업 교육장 조성 확대, 스마트강소농 육성사업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글로벌 컨설팅기업 맥킨지는 보고서를 통해 농축산업 분야의 디지털화를 위한 인프라가 성공적으로 확보될 경우, 농업 생산액이 늘어나면서 2030년까지 5000억 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업은 다른 산업으로 대체될 수 없으며,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이기에 미래에도 성장이 가능한 산업이다. 무한한 가치와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우리 농업이 적극적인 혁신과 기술 발전으로 국가 성장동력 산업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