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봉우리 우뚝 솟아 있었다…'달의 뒤태' 다누리 한국 최초 촬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슈뢰딩거 계곡(영상폭 50km).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사진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슈뢰딩거 계곡(영상폭 50km).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합뉴스

한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가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의 뒷모습을 찍어 보내왔다. 이날 임무 수행 102일째를 맞는 다누리는 하루 12바퀴씩 주위를 돌며 여러 관측 임무를 수행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12일 공개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다누리는 지난달 22일 고해상도카메라(LUTI)로 달 뒷면 대형 크레이터(충돌구)인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했다.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는 지름 180㎞ 크기로 중간 바닥부터 3200m 이상 솟은 봉우리를 갖고 있다. 러시아 루나 3호가 최초로 발견해 로켓 이론 선구자인 러시아 우주비행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붙였다.

실제 다누리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달 지표면 충돌구부터 충돌구 속 우뚝 솟은 봉우리의 모습이 선명하게 보인다.

다누리는 이틀 뒤인 24일엔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도 촬영했다. 슈뢰딩거 계곡은 길이 320㎞. 폭 8~10㎞ 계곡으로 슈뢰딩거 충돌구가 만들어질 때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떨어지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이다.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는 달 뒷면 북위 31도 부근 지름 23㎞ 분화구로 주변 테두리가 후속 충격으로 모양이 변형된 형태를 띤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에 촬영한 영상은 향후 달 지표 구성 성분이나 충돌구 내 봉우리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누리가 촬영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합뉴스

다누리가 촬영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합뉴스

다누리는 또 광시야편광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영상도 공개했다. 이 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과 입자크기, 조성에 따라 빛 반사 특성이 다른 것을 이용해 표토입자 크기와 조성을 알아낸다. 파장과 편광 필터 종류에 따라 밝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해 향후 달 표면 입자 조성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부는 다누리에 탑재된 자기장측정기와 감마선분광기도 성공적으로 관측 데이터를 얻었다고 밝혔다. 자기장측정기는 2월 4일 달이 지구 자기장 영향권에 들어갈 때 세기 변화를 측정했고 감마선분광기는 달 표면 특정 에너지준위 감마선을 방출하는 원소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고해상도카메라 촬영 영상과 세계 첫 달 전면 편광지도, 자기장 분석자료와 달 표면 감마선 스펙트럼 자료 등은 모두 공개될 예정이다. 다누리가 임무를 수행하면서 촬영한 영상은 다누리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홈페이지에서는 달 궤도 위 다누리 실시간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