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응급실 뺑뺑이’ 10대 환자 사망, 특단 대책 세워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조규홍(뒷줄 왼쪽에서 셋째)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조규홍(뒷줄 왼쪽에서 셋째)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권역응급센터 등 7곳 “병상·전문의 없다” 거절

중증 환자 중심의 응급의료체계 개편 시급해

대구에서 10대 청소년이 구급차를 타고 병원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응급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 환자는 지난 19일 오후 4층 높이 건물에서 떨어져 머리와 발목 등을 심하게 다친 상태였다고 한다. 목격자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급대가 환자를 구급차에 태워 2시간가량 돌아다녔지만 받아주는 병원은 한 군데도 없었다.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그동안 보건복지부는 전국 어디서나 1시간 내 도달을 목표로 권역응급의료센터 확충을 추진해 왔다. 그중 대구 권역을 담당하는 곳은 경북대병원이다. 이번 사고에서 119 구급대는 환자를 태우고 경북대병원을 찾아갔지만 소용이 없었다. “병상이 없어 치료가 어렵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었다. 당시 2개의 병상이 비어 있었지만 이미 다른 응급 환자를 받기로 예약한 상태였다고 한다. 119 구급대원이 다른 종합병원도 여섯 곳이나 알아봤지만 “병상이 없다”거나 “담당 전문의가 없어 수술이 어렵다”는 답변만 들어야 했다. 그나마 사정이 낫다는 광역시가 이런 실정이다.

지방 중소도시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강원도 속초의료원 응급실은 이달 들어 매주 나흘만 정상 운영, 나머지 사흘은 단축 운영하고 있다. 네 차례에 걸쳐 연봉 4억원대라는 조건을 제시하며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구했지만 필요한 인력을 채우지 못했다. 현재는 응급의학과라는 전공 제한까지 없애고 다섯 번째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응급실 병상과 의료진 부족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지적됐던 사안이다. 그런데도 ‘응급실 뺑뺑이’ 같은 안타까운 일이 반복된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소방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119 구급차에 실려 병원을 찾았다가 되돌아간 경우는 7600건이 넘었다. 이 중 병상 부족은 17.1%를 차지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증 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안에 최종 치료기관에 도착하는 비율은 49.6%였다. 아직도 절반 이상의 중증 응급환자가 제시간에 치료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이유다.

응급실 밀집도를 낮추고 중증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려면 경증 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을 제한할 필요도 있다. 정부가 이런 방향으로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마련한 건 긍정적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지난 21일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생명이 위급한 응급의료 분야는 정책적 시급성과 중요성이 높다”고 말했다. 중요한 건 말보다 실천이다. 정부와 의료계는 기존 응급의료 정책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중증 환자 중심으로 체계를 개편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