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블핑' 보고 누락이 시작?…"김성한 교체 없다"는데 시끌, 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대통령실은 28일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교체설을 공식 부인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외교·안보 라인 쇄신 차원에서 김 실장을 교체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른 기사”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실무자 격인 비서관과 안보실장은 업무의 성격이나 자리가 갖는 무게감이 다르다”며 “미국 방문을 앞두고 안보실장을 교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최근 김일범 의전비서관에 이어 이문희 외교비서관이 연이어 교체됐는데, 이것을 외교·안보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안보실장 거취로까지 연결짓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김 실장 본인도 주변에 “흔들리지 않고 주어진 일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날 윤 대통령도 김 실장과 전·현직 외교비서관을 비롯한 외교·안보라인 참모들을 따로 불러 오찬을 함께 하면서 “한·미 정상회담 준비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격려했다고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그럼에도 윤 대통령의 4월 말 미국 국빈 방문과 5월에 있을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등을 앞두고 실무 핵심인 의전·외교비서관을 잇달라 교체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번에 교체된 두 비서관이 지난해 5월 윤 대통령 취임과 함께 일해왔으며 순방 때마다 윤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보좌해왔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와 관련해 두 비서관이 교체된 것은 다음 달 말 방미 일정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일부 일정 보고가 누락된 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 측이 방미를 계기로 한류스타 관련 프로그램을 제안했는데 이게 윤 대통령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미국 측에서 한국 가수 블랙핑크와 미국 레이디 가가의 동맹 70주년 기념 협연을 제안했는데, 윤 대통령에게 제대로 보고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용산-외교부 마찰설’, ‘용산 안보라인 내 충돌’ 같은 미확인 루머도 나돌고 있다.

외교·안보라인 교체 가능성은 지난해 말부터 여권 내부에서 거론됐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1년이 다 되어가는 동안 다른 수석실에 비해 교체 폭이 작았고, 업무 특성상 파견 나온 직업 공무원이 많아 다시 복귀해야 하는 보직순환 수요도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 대통령실 안보실장 산하 조직은 지난해 5월 꾸려진 1기 참모진의 진용이 상당 부분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대통령 비서실과 안보실 사이에 정보 칸막이가 심해 분위기 쇄신을 위한 인적 개편 제안도 제기돼 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내외를 아우르는 이슈가 많지만, 안보실과는 보안 문제 등을 이유로 협의가 잘 안 된다고 느낄 때가 많다”고 말했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때문에 당장은 아니더라도 한·미 정상회담 이후 윤 대통령 취임 1주년(5월 10일)을 앞두고 외교·안보 진용의 개편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현 외교·안보라인을 아직 신뢰하지만,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거나 총선 준비 등 중요 정치 일정에 따라 핵심 요직 수장들의 교체 및 인선이 연쇄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한편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미국 의회가 윤 대통령 방미 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을 조율하고 있다’는 니혼게이자이 신문 보도에 대해 “미국 측에서 윤 대통령 국빈방문에서 예우하기 위해 많은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다만 “주최국에서 공식 발표하기 전까지는 우리가 먼저 이야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이 성사되면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10년 만이다. 이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확장억제 강화 방안이 공동선언문에 명시되느냐는 질문에도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고 시작하는 단계에서 미리 결론은 내놓고 단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협상 과정을 지켜보는 게 좋겠다”고만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