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당국 "은행과점 살펴본다"에, 금융권 "정부가 통폐합 시켰잖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금융당국이 국내 은행 시장의 과점 상황에 대한 평가에 나선다.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 산업 과점 폐해가 크다”며 경쟁시스템 강화 방안 마련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서울 시내 은행 현금인출기(ATM) 모습. 금융당국은 은행 간 경쟁을 유발할 방안을 찾기로 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은행 현금인출기(ATM) 모습. 금융당국은 은행 간 경쟁을 유발할 방안을 찾기로 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 관계자는 16일 “은행권에서 과점 구조가 어떤 형태로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라며 “과점 작동 구조를 보고 어떤 방안이 은행업에서 경쟁을 불러올지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전날 비상경제 민생대책회의에서 은행 간 실질적인 경쟁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주문한 데 대한 후속 조치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총자산 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차지하는 비중은 70.73%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5대 은행이 높은 점유율로 손쉽게 돈을 버는 측면이 있다”며 “이런 구조를 바꾸기 위해 다른 참여자가 은행 시장에 들어와 경쟁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달 중 '은행권 경영·영업관행·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고, 상반기 중 제도 개선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현재 개선안으로는 ▶은행 인가를 용도·목적에 따라 세분화(스몰라이선스)해 소상공인 전문은행, 도소매 전문은행, 중소기업 전문은행 등 독립은행을 배출하는 방안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 같은 인터넷은행을 추가로 허용하는 방안 ▶핀테크 업체의 금융업 진출을 허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전날 회의에서 시중은행과 통신업계를 비판하며 “개혁과 혁신은 기득권과 이권 카르텔을 깨는 데서 시작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현재 한국의 은행 시장을 과점으로 볼 수 있냐는 반론도 있다. 금융위원회의 자문기구인 금융산업 경쟁도평가위원회가 지난해 12월 내놓은 ‘은행업 경쟁도 평가 결과 보고서’는 “한국의 은행 산업의 시장 집중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중하위권으로 그렇게 높다고 볼 수는 없다”고 적었다. 세계은행 자료에 근거해 총자산 상위 3개사의 점유율 합산 수치(CR3)로 평가할 때 한국의 은행 시장 집중도는 일반은행(시중은행+지방은행+인터넷전문은행) 기준 23위, 시중은행 기준 18위라는 것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국내 시장 규모에서 시중은행은 물론 지방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등 금융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은행 수가 이 정도로 많은 건 오히려 과당 경쟁으로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과점은 정부 주도 은행 통폐합의 결과인데 갑작스레 시장 체제를 바꾸는 게 가능한가”라는 회의적 시각도 나온다. 현재 시장 체제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은행 산업 경쟁력 강화와 대형화를 위해 은행 간 통폐합 및 지주사 전환을 가속해온 결과다. 2001년 4월 우리은행을 시작으로 신한은행(2001년 9월), 하나은행(2005년 12월), 국민은행(2008년 10월)이 차례대로 금융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대형 시중은행의 지주사 체제가 완성됐고 이 구도는 큰 변화 없이 현재로 이어졌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을 지낸 배현기 웰스가이드 대표는 “정부가 금융 경쟁력 강화를 명목으로 은행 대형화를 이끈 결과가 현재의 시장 구조”라며 “5대 은행 체제를 인위적으로 손보는 건 단기간에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그것이 경쟁으로 이어질지도 미지수”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