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6% 나홀로 고성장…“인도 10년 내 세계 넘버3”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코끼리의 질주 

코끼리(인도)가 용(중국)을 따라잡을까. 전 세계가 저성장과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가운데, 14억 인구 인도는 나 홀로 성장 중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올해(2023년)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6.1%다. 전 세계 전망치 2.7%나 미국 1.0%, 중국 4.4% 등 주요국 전망치보다 높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해(2022년) 인도는 자신을 식민통치했던 영국을 제치고 세계 5위(2022년 명목 GDP 기준)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다. 지난달 초 모건스탠리와 S&P글로벌은 인도가 10년 안에 일본·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에 오를 거란 전망을 했다. 2003년 세계 12위였으니 기록적인 고성장이다.

인도의 부상은 예고된 운명이란 주장이 최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실렸다. 미국 자율주행 기업 퍼셉트인의 창업자 사오산 류는 “풍부한 노동력과 활발한 소비시장이란 과거 중국의 승리 공식이, 이제 중국이 아닌 인도에서 통할 것”이라고 기고했다. 무엇이 ‘코끼리’를 질주하게 했을까.

우선 거대한 인구의 탄탄한 국내 소비가 있다. 인도 인구는 올해 14억2800만 명으로 중국(14억2600만 명)을 추월해 세계 1위가 되고, 이어 2063년엔 17억 명에 달할 전망이다. 더욱이 젊다. 유엔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 인구의 평균연령은 27.9세다. 김찬완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소장은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현재 인도는 1991년 경제 개혁·개방화 이후 태어난 세대가 생산과 소비를 주도한다”고 설명했다.

통신망 확대로 스마트폰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점도 인도의 내수 성장을 견인했다. 은행 계좌도 없던 10억 명의 금융 소외층이 핀테크를 통해 소비에 가세했다. 인도의 지난해 2분기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25.9% 증가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인도 정부가 생산시설을 자국으로 옮기는 외국 기업에 생산 연계 인센티브와 세제 혜택을 주는 등 FDI(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점도 경제성장을 이끌었다. 인도의 FDI 규모는 2018~2019년 620억 달러(약 79조4964억원)에서 2021~2022년 848억3500만 달러(약 108조7754억원)로 늘었다. 인도의 GDP 중 제조업 비중은 현재 15.6%에서 2031년 21%로 높아질 거란 관측이다.

인도는 미·중 갈등 국면에서 반사이익도 얻고 있다. ‘탈중국’에 나선 서방 주요 기업의 대체 생산기지로 부상하고 있다. 애플은 지난해 인도에서 주력 제품인 아이폰14 일부를 조립하기 시작했으며, 2025년까지 아이폰 생산시설의 25%를 중국에서 인도로 옮길 계획이다. 인도 경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도 거의 받지 않았다.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하지 않은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를 저렴하게 사들이는데, 이 점이 물가 상승 압력을 낮췄다.

인도의 경제성장에도 걸림돌은 있다. 결실을 일부 부유층이 독식하는 등 빈부 격차가 심화하고 있다. 2022년 세계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0%가 인도 전체 소득의 57%를 차지한다.

인도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21년 기준 2170달러(약 277만원)로 세계 142위다. 중국의 약 5분의 1 수준이다. 관료 조직의 부패 문제도 인도가 넘어야 할 산이다. 국제투명성기구(TI)의 부패 순위(2021년)에서 인도는 85위로 중국(66위)보다 뒤처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