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마포발 ‘반값 전세’…서울 집주인들 떨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더클래시. 1419가구 신축 단지로 지난달 말 입주를 시작했다. 곽재민 기자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더클래시. 1419가구 신축 단지로 지난달 말 입주를 시작했다. 곽재민 기자

지난 28일 오후 서울 마포구 아현동 마포더클래시 아파트 단지. 지난달 말 입주(1419가구)를 시작한 이곳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이대역 중간 지점에 있다. 통상 입주 시기에는 단지 안팎이 시끄럽지만, 이 일대는 한산했다. 이대역 인근에서 영업하는 한 공인중개사는 “살던 집이 안 팔려 새 아파트에 입주하기 어려운 집주인이 전세나 월세로 집을 내놓고 있지만 나오는 집에 비해 셋집을 얻으려는 수요가 훨씬 적다”고 말했다. 단독주택 재건축 단지인 이곳에 2억원가량을 투자해 새 아파트 집주인이 된 김모(47)씨는 “이곳 집주인이 경쟁적으로 전세 보증금을 낮춰 세입자를 찾고 있다는 게 중개업소에서 매일 하는 얘기”라며 “전셋값을 더 낮춰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아실에 따르면 28일 기준 마포더클래시의 전세물건은 629건으로 집계됐다. 입주 직전인 한 달 전(682건)과 비교해 별 차이가 없다. 현재 마포더클래시의 전세 시세는 전용면적 59㎡가 5억원대, 84㎡의 경우 6억원대다. 59㎡ 8억원대, 84㎡ 11억원대였던 입주 시작 전 전세 호가와 비교하면 크게 내렸다. 입주단지 집주인의 ‘세입자 모시기 경쟁’은 인근 기존 아파트 전셋값도 끌어내리고 있다. 마포더클래시 인근 마포래미안푸르지오 59㎡의 경우 지난 4월 9억 5000만원에 전세계약이 됐는데 현재 호가는 5억 5000만원까지 떨어졌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집주인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623가구의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힐스테이트홍은포레스트는 293건의 전세 물량이 쌓여있다. 아파트 매매 시장이 빙하기를 맞으면서 집주인이 집 팔기를 포기하고 전세로 내놓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해 초 1.00%였던 기준금리가 3.25%까지 오르면서 전세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의 전세 기피 현상까지 더해지고 있다. 최근 주요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는 연 5~7% 수준으로 지난해 말(3~4%)보다 두 배가량 뛰었다.

지난 8월 아실이 내놓은 서울 아파트 전세 물량은 3만2617건이었는데 3개월만인 지난달 기준 5만742건으로 55% 늘었다. 29일 한국부동산원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말 대비 5.23% 하락했다. 지난해 전셋값이 9.61% 오른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 전셋값이 크게 하락하면서 2년인 전세기간을 2년 더 연장할 수 있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쓰는 경우가 줄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갱신계약 건 가운데 세입자가 갱신권을 사용한 경우는 5171건으로 전체의 41.4%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가장 낮은 비중이고 1월 59.0%에 비해서는 17.6%포인트 감소했다. 부동산R114가 2년 전과 올해 1건이라도 전세 거래가 있었던 서울 아파트 9606개 주택형의 전셋값을 분석(최고가 비교)한 결과, 올해 계약금액이 2년전 계약금액보다 낮은 경우는 1774개로 전체의 18%에 달했다.

내년엔 전셋값 하락세가 더 가파를 전망이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보다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5만2031가구로 올해(33만2560가구)보다 5.9% 증가한다. 수도권 신규 입주 물량은 17만9803가구로 전체 물량의 절반이 넘는다. 올해 전셋값 하락세가 두드러진 인천과 대구는 각각 4만4984가구, 3만6059가구로 2000년 이후 역대 최대 물량이 쏟아진다. 서울 입주 물량도 2만5729가구로 올해보다 더 늘어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 전셋값 하락률이 매매보다 더 가파른 상황”이라며 “내년 입주 물량이 많은데 금리까지 더 높아지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