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위권만 수학 성적 ‘뚝’ 떨어져…코로나19 학습격차 현실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신학기 개학이 연기된 가운데 전국 중3과 고3 학생들의 온라인 개학이 시작된 2020년 4월 9일 오전 대구 한 고등학교 교실에서 화학 과목 교사가 노트북을 이용해 온라인 양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신학기 개학이 연기된 가운데 전국 중3과 고3 학생들의 온라인 개학이 시작된 2020년 4월 9일 오전 대구 한 고등학교 교실에서 화학 과목 교사가 노트북을 이용해 온라인 양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발생 후 등교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상위권‧중위권보다 하위권의 하락 폭이 커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격차가 현실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4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코로나19를 전후한 고등학생 수학 성취도 변화: 실태 및 영향요인’ 연구에서 코로나19 발생 전‧후인 2019년과 2020년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결과를 비교‧분석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매년 전국 중3‧고2 학생의 3%를 표집해 국어‧영어‧수학 시험을 치른다. 학생들의 학업 수준을 파악해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9년 1만1518명, 2020년에는 1만472명의 표본이 사용됐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9년 148.42점이었던 고등학생들의 평균 수학 척도 점수는 코로나19로 대부분 학생이 원격수업을 진행한 2020년 146.68점으로 1.74점 하락했다. 척도점수는 각기 다른 해에 시험 본 집단의 점수를 비교할 수 있게 난이도 차이를 조정해 환산한 점수다.

평균 점수 하락에는 상위권‧중위권보다 하위권의 영향이 컸다. 상위 10%의 점수는 2019년 171점에서 2020년 172점으로 1점 올랐고, 같은 기간 상위 50%는 150점에서 149점으로 1점만 낮아졌다. 반면 하위 10%의 평균 점수는 2019년 122점에서 2020년 113점으로 9점 떨어졌다.

지난 2020년 8월 21일 강원도의 한 초등학교가 코로나19로 외부인 출입을 금지한 모습. 연합뉴스

지난 2020년 8월 21일 강원도의 한 초등학교가 코로나19로 외부인 출입을 금지한 모습. 연합뉴스

전자기기 사용 증가가 점수 하락 원인

연구진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하락한 데 전자기기 사용시간이 늘어난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2019년과 비교해 2020년에는 EBS 수강시간뿐 아니라 SNS‧게임 등 오락용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대면 수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동안 학생들은 가정에서 스마트폰을 무절제하게 사용하고, 게임 등을 하며 시간을 보내 학습결손이 심화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학습격차는 지난 6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에서도 확인됐다. 평가에 참여한 고2 학생들의 기초학력미달 비율은 코로나19 전후로 모든 과목에서 증가했다. 2019년 4.0%였던 국어 과목 기초학력미달 비율은 2020년 6.8%로 늘었고, 같은 기간 수학은 9.0%에서 13.5%, 영어는 3.6%에서 8.6%로 급증했다.

논문을 작성한 김경근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 등 연구진은 “학생들의 전자기기 사용이 학습목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방법을 설계하는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고등학교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학습부진 학생 지원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